작성일 : 25-03-18 07:58
“의료대란 1년, 응급실 뺑뺑이 구급대원도 지쳤다”
|
|
글쓴이 :
동구센터
 조회 : 83
|
공무원노조 소방본부 “응급의료체계 정비해야 … 수용 불가 사유 구급대에 정확히 고지”
소방노동자들이 ‘응급실 뺑뺑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응급의료체계 정비를 촉구했다.
공무원노조 소방본부 서울소방지부(지부장 김종수)는 17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는 국민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응급의료체계를 완성하라”고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은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함께 주최했다.
이들은 지난해 2월 수련병원 전공의가 이탈하면서 의사가 부족해 병원에서 응급환자 진료를 거부하면서 환자들이 병원을 전전하는 현실이 계속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서 구급대원이 환자를 현장 처치하거나 병원 선정의 부담을 짊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김종수 지부장은 “구급대원이 병원에 직접 전화를 걸며 응급환자를 받아줄 곳을 찾아다니거나 환자를 병원에 이송하지 못해 자괴감을 느끼고 있다”며 “코로나19에서도, 의료대란에서도 국민을 위해 묵묵히 일한 119 구급대원은 이제 너무 많이 지쳤고, 사기가 떨어져 사명감마저 안간힘을 쓰며 찾아내야 하는 지경”이라고 호소했다.
지부는 정부가 응급의료 개선 노력과 함께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지부장은 “응급의료는 119 구급현장에서 출발하기에 제대로 된 병원 치료를 받기 위한 이송체계를 갖추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응급의료 시스템을 재정비할 수 있도록 정부와 의사단체, 소방본부가 함께 모여 논의에 나서자”고 주문했다.
지부는 구체적인 응급의료체계 개선안도 함께 제시했다. 지부는 △정부가 병원 응급의료 능력을 평가할 때 구급대 환자 수용·이송률을 반영한 평가 항목을 도입할 것과 △병원 통합 정보를 구급대에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병원정보 시스템에 수용 불가 사유를 명시할 것 △119구급상황센터가 병원 선정시 강제력을 가지도록 권한을 부여하고 이송 지연·불가를 즉각 파악하는 시스템을 만들 것을 제안했다.
지부는 지난해 8월에도 응급실 뺑뺑이 문제를 지적하는 기자회견을 연바 있다.
출처 : 매일노동뉴스(http://www.labortoday.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