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서울시립십대여성건강센터 운영을 종료하며 2013년부터 축적해 온 여성청소년의 상담 기록을 파기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다. 성폭력 등 재판에서 증거가 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16일 ‘서울시립십대여성건강센터 나는봄 폐쇄저지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에 따르면 다음달 4일 운영 종료를 앞두고 센터가 보관하던 이용자 기록은 폐기될 상황에 놓였다. 센터는 성폭력·탈가정 등으로 위기 상황에 놓인 여성청소년을 지원해 온 전국 유일의 기관이었다. 개소 이후 12년간 2천여명의 이용자가 방문해 상담·진료 등을 받아왔지만 다음달 운영을 종료하게 됐다.
센터는 상담자료·진료내역이 추후 법정에서 증거로 활용될 수 있어 중요하게 보관해 왔다. 그런데 서울시는 운영 종료를 앞두고 2천여건의 자료를 일괄 파기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민감한 정보로 제3자에게 정보를 이관한다는 동의도 받지 못했던 터라 파기 외에 선택지가 없는 상황이다. 서울시는 내년 1월에 신규 센터를 세울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정보 이전은 마찬가지로 불가능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대책위 관계자는 “신규 센터가 개소해도 이전 청소년들의 상담내역은 사라질 수밖에 없다”며 “개인정보 관리 문제 측면에서도 기존 센터 운영을 지속하는 것 외에는 답이 없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의회 본관 앞에서 운영 종료 계획을 철회하라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27일까지 열리는 서울시의회 331회 정례회에 참여하는 서울시의원에게 센터 폐쇄를 막아달라고 요구했다.
센터에서 산부인과 진료를 담당한 이영희 여성의학과 전문의는 “위기 상황에 놓인 여성청소년에 대한 의료와 상담은 그 어떤 행정적 이유로도 중단돼서는 안 된다”며 “지속 가능한 연계가 필요하다. 서울시는 센터를 없애지 말고 더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