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Home|자유게시판|자유게시판

 
작성일 : 25-06-29 13:25
자산매각 않으면 구조조정? 한국지엠 앞날 ‘미궁’ 속으로
 글쓴이 : 동구센터
조회 : 108  
고용안정특위서 사쪽 경위·계획 ‘모르쇠’ … 노조 “관세 대응 협의해야지 왜 일방 통보하나”

자산매각 추진으로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는 한국지엠의 앞날이 미궁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한국지엠이 자산매각 목적이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 대응이라고 밝히면서도 구체적인 계획에 대해서는 모른다며 말을 아끼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지엠 노사는 26일 오전 한국지엠 부평공장 본관에서 고용안정특별위원회 회의를 열고 최근 사용자쪽이 발표한 자산매각에 대해 논의했다. 그러나 협의가 자산매각을 전제로 한 것인지, 원점 검토인지조차 결론을 내지 못하고 회의를 중단했다. 사용자쪽은 노사협의를 강조하면서도 지엠그룹의 구체적인 계획에 대해서는 모른다는 답변으로 일관했다. 이날 회의는 사용자쪽의 요청으로 열렸다.

이날 헥터 비자레알 한국지엠 사장은 회의석상에서 “고용안정특별위는 노사가 허심탄회하고 건설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기회”라며 “이 자리에서 노조 관점을 경청할 것이며 투명하게 사용자쪽 관점을 공유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용자 ‘정리해고·물량이동·공장폐쇄’ 언급

그러나 실제 회의에서는 제대로 된 의견교환이 이뤄지지 못했다. 사용자쪽 한 참가자는 “이 프로세스(자산매각)는 미국 신임 행정부 취임부터 시작했다”며 “미국에 수출하는 중국·캐나다·멕시코·한국은 (관세) 영향을 상쇄하고 없앨 계획을 제출해야 한다는 본사로부터 요청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자산매각을 통해 확보한 현금으로 관세영향을 축소하려는 계획이었다는 얘기다.

사용자쪽은 멕시코지엠은 미국으로 생산 물량을 이동하고, 캐나다는 정리해고를 하고, 중국은 시설 문을 닫아야 하는 상황이라며 한국지엠도 자산매각 등을 강행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강조했다. 자산을 매각하지 않으면 물량이동이나 정리해고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자산매각 방식을 택하게 된 구체적인 경위나 앞으로의 계획은 밝히지 않았다. 한 사용자쪽 참가자는 “더 큰 계획이나 결정을 알고 있지 못하고 현재로서 (경영이) 지속가능하지 않은 것은 맞다”며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것은 인지하고 있다”고만 밝혔다.

노조는 관세 대응이라는 사용자쪽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는 입장이다. 안규백 금속노조 한국지엠지부장은 회의석상에서 “국가 간 관세는 변동성이 있으나 매각은 불가역적”이라며 “관세 대응 필요성에 공감하나 (자산매각이라는) 답을 정해 놓고 하는 협의라면 다음 협의는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노사 임단협 평행선, 지부 쟁의조정 신청

노조를 지지하는 목소리는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다. 이상목 고용노동부 인천북부지청장은 24일 안 지부장 등 지부와 간담회를 열고 “시점을 이해하기 어렵다”며 한국지엠의 매각발표를 지적했다. 이보다 앞서 20일 부평구의회는 한국지엠 지속가능성 강화 촉구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결의안은 한국지엠에 노조·협력업체와의 소통 강화를 요구하고 정부에도 적극적인 대책 강구를 요청하는 내용을 담았다. 대주주인 산업은행에도 감시와 투자 확대 같은 개입을 촉구했다.

한국지엠 사용자쪽은 지난달 28일 당초 예정됐던 노조와의 임금·단체교섭 상견례를 일방적으로 취소하더니 직영서비스센터 9곳과 부평공장 내 부지를 매각하겠다고 통보했다. 지부는 즉각 반발했다. 갑작스러운 한국지엠의 자산매각 발표에 연이어 철수설이 제기됐다. 한국지엠은 2018년 지역사회와 노조 반발에도 군산공장을 폐쇄한 전적이 있다.

한편 한국지엠 올해 임금·단체협상은 9차까지 진행됐지만 이렇다 할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지부는 25일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을 신청했다. 지부는 앞서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실시한 결과 88.2%로 가결해 쟁의권을 확보한 상태다.

출처 : 매일노동뉴스(http://www.labortoday.co.kr)

 
   
 





오늘의 방문자 1 | 총 방문자 381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