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Home|자유게시판|자유게시판

 
작성일 : 14-12-17 16:42
정년 60세 의무화 앞둔 대기업 75% “임금체계 개편 추진”
 글쓴이 : 동구센터
조회 : 2,125  
정년 60세 의무화 앞둔 대기업 75% “임금체계 개편 추진”
전경련, 300인 이상 기업 조사 결과 … 정년 58세, 기업 절반만 정년보장

300인 이상 대기업 10곳 중 7곳은 2016년 정년 60세 의무화를 앞두고 임금피크제 도입 같은 임금체계 개편을 추진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기업의 평균정년은 58세였지만 이를 지키는 기업은 절반에 불과했다. 정년 60세 의무화가 시행되더라도 제대로 정착될지 의문이 제기된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6일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정년 60세와 노동시장 변화’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내놨다. 조사에는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 중 종업원이 300인 이상인 181개 기업이 참여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기업의 75.7%는 2016년 60세 정년 의무화가 시행되면 임금피크제 도입이나 임금체계 개편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32%(복수응답)가 임금체계 전면 개편을, 23.2%가 기존 정년 이후 임금피크제 도입을, 20.5%가 현행 임금피크제를 60세로 연장하겠다고 답했다. 현행 임금체계를 유지하겠다는 대답은 20.4%(연봉제·직무급제 11%·연공서열형 9.4%)에 불과했다.

조사에 참여한 기업들의 취업규칙상 정년은 평균 58.2세였다. 60세 이상 28.7%, 55세 23.2%, 58세 22.7%, 57세 12.2% 순이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근로자가 정년까지 일한다”고 답한 기업은 절반이 조금 넘는 59.1%에 그쳤다. 명예퇴직 등으로 규정된 정년보다 일찍 퇴직한다는 기업이 21.5%, 정년을 거의 채우지 못하는 기업도 16.6%나 됐다.

직군별로는 사무직보다는 생산직이 취업규칙상 정년까지 근무할 확률이 높았다. 생산·생산관리(49.6%·복수응답)와 경영관리(18.7%), 영업·마케팅(13.8%), 연구개발(10.6%) 순으로 정년근무 비중이 높았다.

기업들은 임금피크제 도입을 위해 △임금피크제 의무화 법안 입법(28.2%) △재정지원 강화( 27.6%) △노조 및 근로자의 협조(25.4%) △임금피크제 도입을 취업규칙 불이익변경으로 보지 않을 것(17.1%)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오늘의 방문자 1 | 총 방문자 381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