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5-03-03 13:00
“쉬운 해고와 기간제 확대에 맞설 유일 대안은 연대투쟁”
|
|
글쓴이 :
동구센터
 조회 : 1,847
|
“쉬운 해고와 기간제 확대에 맞설 유일 대안은 연대투쟁”
양대 노총 위원장 2일 한국노총서 두 번째 회동 … '노사정 협상 참여' 여부는 이견
김동만 한국노총 위원장과 한상균 민주노총 위원장이 정규직 해고를 쉽게 하고 기간제 사용기간을 늘리는 노동시장 구조개선에 맞서 연대투쟁을 하기로 했다. 다만 노사정 협상 참여 여부 같은 구체적인 방법에서는 이견을 보였다.
김동만 위원장과 한상균 위원장은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노총 위원장실에서 만나 연대투쟁에 공감했다. 이날 한 위원장의 한국노총 방문은 올해 1월 김 위원장의 민주노총 방문에 대한 답방 형식을 띤다.
한 위원장은 “정부가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를 들러리 세워 노동시장 구조개악을 추진하고 있다”며 “노사정위에 제출된 (임금·노동시간 등 3대 현안) 공익전문가 안만 살펴봐도 알 수 있지 않냐”고 말문을 열었다.
한 위원장은 이어 “정부는 합의보다는 공익전문가 의견을 명분 삼아 (구조개악을) 일방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노사정위를 탈퇴하고 민주노총과 함께 투쟁하자”고 제안했다.
김 위원장은 이에 “많은 우려와 걱정이 있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면서도 “우선 노사정 협상에 최선을 다하면서 노동계의 요구와 입장을 정부·경영계·국민에게 알리고 반영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공무원연금 개혁 역시 정부가 일방적으로 밀어붙이려고 했다가 당사자와 논의를 시작하면서 중단된 측면이 있다”며 “협상이 결렬되면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한 4~5월 총력투쟁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노동계 대표로 홀로 협상하려니 외롭고 힘들 때가 많다”며 “민주노총이 노사정 협상에 참여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전했다.
두 위원장은 이러한 의견차이에도 "양대 노총 연대투쟁이 정부의 노동시장 구조개악 일방 추진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다. 현재 처한 상대 조직의 입장을 이해하고 긴밀한 공조를 이어 나가기로 했다.
이날 회동에는 최두환 한국노총 상임부위원장과 이병균 사무총장, 이영주 민주노총 사무총장을 포함한 양대 노총 실무진 10여명이 함께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