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국건설노조와 전봇대 개폐기 작업을 하다 감전사고로 숨진 한국전력 협력업체 노동자 김다운씨의 유가족이 10일 오전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고인을 추모하고 한국전력에 위험의 외주화 책임을 묻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고 김다운씨 작업 “2021년 한전서 외주화”
유가족, 청와대·한전 본사 앞 기자회견 … “위험의 외주화, 한전이 책임져라”
고 김다운(사망 당시 38세)씨 사망사고의 근본 원인은 한국전력의 ‘위험의 외주화’에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씨는 지난해 11월 경기도 여주의 한 오피스텔 건설현장에서 회로차단 전환 스위치(COS) 투입·개방 작업을 하다 고압전류에 감전됐다.
건설노조는 10일 오전 청와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COS 투입·개방 작업은 2020년까지 한전 배전운영실 소속 전기노동자들이 하던 일”이라며 “지난해부터 한전이 하던 일을 하청에 떠넘기면서 문제가 시작됐다”고 주장했다.
엄인수 노조 강원전기지부장은 “한전 직원이 COS 투입·개방 업무를 진행했다면 활선차(고소절연 작업차)가 충분히 진입할 수 있음에도 활선차를 사용하지 않은 채 혼자 작업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전이 직접 수행할 때는 활선차를 활용해 2인1조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었는데, 이 업무를 하청업체가 맡게 되면서 위험한 작업으로 변질됐다는 설명이다.
한전은 지난 9일 기자회견을 열고 직접활선 공법 퇴출을 비롯한 ‘안전사고 근절을 위한 특별대책’을 발표했다. 노조는 이 같은 대책은 미봉책일 뿐 안전사고를 근절하기 위해서는 직접고용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노조는 “배전 협력업체에는 평균 13명의 노동자가 등록돼 있지만 실제로 전주를 오르내리는 사람은 서너 명밖에 안 된다”며 “장롱면허를 가지고 입찰을 받고 실제로 일할 때는 소수만 남아도 한전은 제대로 관리·감독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조에 따르면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기노동자 47명이 현장에서 사망했다. 석원희 노조 전기분과위원장은 “전기노동자가 산재사고로 사망하고 있지만 한전이 하청노동자를 대하는 태도는 변하지 않고 있다”며 “이제는 생명의 존엄성을 다시 생각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고 김다운씨 매형 장아무개씨는 “사고의 책임이 있는 한전은 ‘발주처’라는 명목으로 책임을 회피하려 하고 있다”며 “활선차와 안전장비를 사용하고 2인1조로 일하라는 작업 지침이 모두 무시된 책임에 대해서 한마디 말도 없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이날 오후 전남 나주 한전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유족에 대한 진정성 있는 사과를 촉구했다.
출처 : 매일노동뉴스(http://www.labor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