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25-06-23 10:10
[갈 길 먼 상생] 의문투성이 근무조 개편에 멍드는 ‘구미형 일자리’
|
|
글쓴이 :
동구센터
 조회 : 29
|
“월 최대 300만원 감소 주간근무 조합원만 시켜” … 경영난 명분인데 지난해 이어 올해 1·2분기 흑자
‘구미형 일자리’ LG-HY BCM 노사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급여감소를 동반하는 조합원 대상 근무조 변경 갈등에 이어 노동자 감시 논란까지 불거졌다. 구미시는 뒤늦게 중재에 나섰다.
22일 <매일노동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LG-HY BCM은 최근 화섬식품노조 LG-HY BCM지회(지회장 유연동)에 지난 3월 변경한 주간조 근무 유지 검토를 위한 협의를 요청했다. 하지만 지회는 주간조 도입 당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쪽이 협의를 합의로 둔갑시켜 주간조 근무 유지를 강행할 우려가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게다가 사용자쪽이 경기불황을 이유로 8월 셧다운 방침을 밝히면서도 경영상황 등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도 전달하지 않아 협의에 임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3개월만 한다던 주간근무, 사용자쪽 “3개월 더”
핵심 갈등은 주간조 근무다. LG-HY BCM은 당초 12시간 3조2교대 근무를 했다. 그러다 교대근무조와 별개의 주간근무조를 3월27일부터 새로 도입했다. 문제는 이 주간근무조에 편성된 인원이 모두 조합원이라는 점이다. 지회 조합원은 45명가량인데 이 가운데 절반이 유일한 주간근무조에 포함된 것이다.
지회에 따르면 주간근무조 편성 노동자들은 연장·야간근로수당을 받지 못하게 돼 한 달 임금이 약 200만~300만원가량 감소했다. 반면에 사용자쪽은 지회가 주장하는 감소분은 과장됐다며 80만~120만원 수준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주간조 신설 명분은 경영상 어려움이다. 양극재 판매가 둔화할 수 있어 긴축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유연동 지회장은 “사용자쪽은 경영상 판단이라며 근무조 개편을 강행했다”며 “그러나 이를 통해 감소하는 지출은 (사쪽 기준으로 계산해도) 인건비 2천만원가량에 불과하고 실제 경영이 어려운 상황인지에 대한 해명이나 자료 전달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항의했다.
LG-HY BCM 경영이 실제 어려운지는 불분명하다. 적어도 지난해까진 이익을 냈다.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LG-HY BCM의 매출은 6천258억7천만원이고 350억3천900만원이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정체)으로 배터리시장이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은 있지만 확인되진 않는다. 유 지회장은 “사용자쪽에 따르면 올해 1·2분기는 모두 흑자를 냈다고 한다”며 “근무조를 개편해야 할 경영상 이유도 뚜렷이 찾기 어려운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사용자쪽은 당초 이달 말까지로 예정했던 주간조 유지 기한을 3개월 연장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여전히 명분은 경영상 어려움이다. 8월에는 한 주 정도 공장 가동을 중단한다는 계획도 있다.
노동자 감시·부당 업무지시 논란까지
그런 가운데 사용자쪽은 지난달 28일 돌연 중간관리자 일부에게 바디캠을 착용시켜 사내 기본원칙지킴이를 운영한다는 공지를 내 돌발적인 갈등도 터졌다. 노동자 감시를 위해 폐쇄회로(CC)TV를 설치할 수 없고, 보안 등을 이유로 촬영한 영상으로 근무태도를 평가하는 것은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이다. 바디캠 착용은 철회됐지만 노사 갈등의 골은 더 깊어졌다.
논란은 또 있다. 지회에 따르면 LG-HY BCM은 최근 고객사 요청이라며 생산물 이물 방지용 페인트작업 지시를 하달했다. LG-HY BCM에는 이물관리팀이 따로 있지만 생산부서에 업무를 지시했다. 지회는 이달 13일 부당한 업무지시라며 고용노동부 구미지청에 진정을 제기하고 구미지청의 판단이 있기 전까지 업무를 이행하지 않겠다고 사용자쪽에 통보했다. 그러자 사용자쪽은 지회 공문에 별다른 회신은 하지 않은 채 지시불이행이라며 생산부서 조합원에게 경고장을 보냈다. 지회는 사용자쪽이 지회를 대화상대로 인정하지 않고 개별조합원을 압박하는 처사라고 보고 있다.
중재 나서는 구미시 노사민정
지회는 근무조 개편으로 시작해 켜켜이 쌓이는 갈등 사안이 노조탄압의 일환이라고 보고 있다. 근무조 개편에 따른 피해가 고스란히 조합원에게 집중되고 있을 뿐 아니라 페인트작업 거부에 따른 경고도 조합원을 향해 향후 징계 근거가 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유 지회장은 “상생형 일자리라며 국고와 지방세 보조를 받는데 그만큼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구미형 일자리는 광주형 일자리와 함께 지역상생형 일자리 사업 일환으로 노동계와 사용자, 그리고 지방자치단체가 합작한 사업이다. 노사 갈등이 깊어지자 구미시쪽은 노사 중재를 시도할 계획이다. 구미시 노사민정협의회는 오는 24일 LG-HY BCM을 방문해 노사 양쪽을 함께 만나 의견을 청취할 계획이다.
출처 : 매일노동뉴스(http://www.labortoday.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