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K기업은행이 부당대출 관련 쇄신안을 내놓은 가운데 금융노조 기업은행지부(위원장 류장희)가 “노동자 책임만 넓히는 쇄신안”이라며 대규모 집회를 예고했다.
지부는 16일 오전 서울 을지로 기업은행 본사 앞에서 결의대회를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조합원 2천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기업은행은 882억원 규모의 부당대출이 적발되자 지난달 26일 자체 쇄신안을 내놓았다. 쇄신안에는 △임직원 친인척 정보 데이터베이스(DB) 구축으로 친인척 이해상충 대출 차단 △대출 시 부당대출 방지 확인서 작성 △내·외부 전문가로 구성한 감사자문단 운영 △독립적인 신고 채널 신설 △무관용 엄벌주의 정착 등의 내용이 담겼다. 쇄신안 이행을 위해 지난 1일 IBK쇄신위원회가 첫 회의를 열었다.
쇄신안이 이행되면 노동자들에게 책임이 전가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쇄신안에 따르면 회사는 모든 대출에 영업점 직원의 확인과 서명을 받는다. 윗선의 친인척 관계를 모르는 영업점 직원이 서류상 문제가 없어 대출 심사를 하고 허가를 내주는 경우에도 해당 직원이 책임져야 할 수 있다. 논란이 된 기업은행 부당대출은 지점장급 이상인 임원들이 일으킨 문제였다.
류장희 위원장은 “기업은행 위기는 부당대출사태 자체가 아니라 경영진이 위기를 극복할 능력이 없다는 것”이라며 “탑다운 방식의 급조된 쇄신안이 아니라 다운업 방식의 현장 혁신안 10개를 경영진이 당장 수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부는 조합원들의 의견을 모아 10대 혁신과제를 제시한 바 있다. 경영진 총사퇴 및 책임자 엄중 문책을 비롯해 △중기대출·창업기업·기술금융 KPI 폐지 △무한경쟁 유발 가산점 폐지 △부당지시자 엄중 처벌 및 취급자 면책 제도 도입 △부당대출 신고시 노조 포함 진상조사위원회 개입 △법률·심리상담 지원제도 마련 △퇴직 직원 자회사 및 협력사 낙하산 인사 근절 △골프 등 접대성 친목모임 전면 금지 △법무사 배정 시스템 도입 및 유착 발각시 엄중 처벌 △여신심사부서 완전한 독립부서 전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