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25-04-28 07:53
‘세계 노동절’ 맞이 이주노동자 권리 보장 촉구 행진
|
|
글쓴이 :
동구센터
 조회 : 160
|
대선 정책 요구안 발표 … “인권침해 고용허가제 변해야”
이주노동자들이 5월1일 세계 노동절을 맞아 이주노동자 권리보장을 촉구하며 행진했다.
민주노총·금속노조·이주노조(MTU)·이주노동자평등연대·경기이주평등연대는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보신각을 시작으로 을지로입구역, 세종호텔농성장, 서울노동청을 지나는 거리 행진에 나섰다.
참가 단체들은 행진에 앞서 21대 대선을 앞둔 정책 요구안을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국제노동기구(ILO) 강제노동금지협약을 준수한 사업장 변경 자유 보장 △임금체불 근절 △가건물 기숙사 전면 금지 △근로기준법 63조(적용의 제외) 폐지 △강제추방 금지, 체류권 보장 △차별금지법 제정 등이다.
행진 참가자들은 우리 사회를 ‘못사는 나라에서 왔으니 값싸게 부려도 된다’는 인식이 만연한 곳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사업장 이동의 자유가 가로막히고 위험한 노동환경 속에 내몰린 가운데 죽음과 부상을 부르는 강제 단속과 추방이 일상화됐다고 꼬집었다.
킨 메이타(Khin May Htar) 수원이주민센터 대표는 “법무부는 미등록 이주노동자에 대한 특별 집중 단속기간을 정하고 직장에서, 길에서, 식당에서, 심지어 종교시설에서 무차별적인 단속을 하고 있다”며 “도망치다가 갈비뼈가 부러진 노동자, 기계설비 안에 숨었다가 발목이 절단된 노동자, 7미터 높이 울타리에 숨었다가 떨어져서 숨진 여성노동자까지 끔찍한 일들을 당하고 있다”며 “단속 이전에 노동자의 생명과 안전을 존중하라”고 소리 높였다.
네팔 출신 이주노동자 비샬(Bishal)씨는 “사장의 폭력을 못 견디고 사업장 변경을 요구하자 두 달 동안 일을 시키지 않고 월급도 안 준다”며 “노동부 고용센터에 갔더니 사장한테 이야기하라고 한다”고 호소했다. 비샬씨는 “이주노동자의 인권을 침해하는 고용허가제가 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출처 : 매일노동뉴스(http://www.labortoday.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