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관련소식

Home|최근소식|노동관련소식

 
작성일 : 25-04-07 08:41
대선 앞둔 양대 노총 선택, 다음달 결정할 듯
 글쓴이 : 동구센터
조회 : 21  
한국노총 현실적 선택지 이재명 ‘유력’ … 민주노총 내부 갈등에 ‘난항’ 예상

조기대선 막이 오르면서 양대 노총 발등에도 불이 떨어졌다. 20대 대선부터 가시화된 ‘노동 없는 선거’를 중단하고 새 정부 정책에 진일보한 노동정책을 밀어 넣기 위한 고민에 휩싸였다.

6일 <매일노동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조기대선 대응은 한국노총이 좀 더 속도를 낼 수 있어 보인다. 한국노총은 잠시 숨을 고른 뒤 대선방침 결정 논의에 곧바로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대선방침 결정에는 세 단계가 필요하다. 구체적 일정들을 결정하는 상무집행위원회, 대선방침을 논의할 중앙집행위원회, 정치방침이 결정되는 임시대의원대회다. 상무집행위원회는 10일, 중앙집행위원회는 4월 넷째 주, 임시대의원대회는 5월1일 전국노동자대회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노총 ‘내란정당’ 배제 여지 커

대선방침 계획은 이미 연초에 정했다. 올해 정기대의원대회에서 한국노총은 3월 내로 대선기획단을 운영하고 대선 노동정책 요구안을 수립한 뒤 발표하기로 계획했다. 4월 중에는 대선 노동정책 의제화, 주요 정당 정책공약화, 대선후보 노동정책 수용도 평가, 각당 대선후보 정책간담회를 열기로 예정했다. 그러나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선고가 예상보다 늦어져 이런 일정은 모두 순연돼 있다. 윤 전 대통령 퇴진을 위해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과 함께 매일 광장에서 천막농성을 한 영향이다. 한국노총 관계자는 “지금까지 대선 내부 논의가 있긴 했지만, 윤석열 퇴진에 집중하느라 진전이 별로 없었다”고 전했다.

방향성은 대강 유추할 수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아 리스크가 사라졌고, 각종 여론조사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보수 지지층에서 선두를 달리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윤 전 대통령 파면 선고에 불복해 대선에 출마하는 모양새라 한국노총이 지지할 수 없는 인사고, 탄핵을 반대했던 국민의힘쪽 후보를 지지하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재명 대표가 반도체산업에 주 52시간제(연장근로 12시간 포함) 적용을 제외하는 반도체특별법을 밀어붙인 점 등 연속적인 ‘우클릭’을 하는 점은 우려되는 지점이다.

민주노총, 선거방침 못 정할 수도

민주노총도 일정은 유사할 전망이다. 이달 내 정치위원회 회의를 진행하고, 의견을 모아 중앙집행위원회에 올리는 방식이다. 민주노총은 선거방침을 중앙집행위원회에서 정할 수 있다. 17일 중앙집행위 회의가 예정돼 있지만 물리적 시간상 정치위 회의 결과는 다음 차수 중앙집행위 회의에 보고될 것으로 보인다. 만약 중앙집행위원 간 이견이 클 때는 임시대의원대회를 소집할 여지도 있다. 그러나 지난 3일 임시대대를 소집한 바 있어 행·재정적 부담이 크다.

그럼에도 임시대대 소집까지 염두에 두는 것은 민주노총이 지난 총선 과정에서 발생한 갈등을 상당 기간 해소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22대 총선에 더불어민주당 위성정당이었던 더불어민주연합으로 비례선거를 치른 진보당을 두고 민주노총 정파 간 입장 차가 크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선거방침을 합의하기 어려운 상황도 현실적으로 가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민주노총 내부에서는 다양한 의견들이 오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동계 독자후보를 출마시키자는 의견이나 진보 단일후보 등이다. 지지 후보 결정 외에도 민주노총은 각 정당과의 정책협약을 추진할 계획인데, 이 과정에서 민주당과의 관계를 놓고도 내부 갈등이 예상된다.

출처 : 매일노동뉴스(http://www.labortoday.co.kr)

 
   
 





오늘의 방문자 1 | 총 방문자 3816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