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관련소식

Home|최근소식|비정규직 관련소식

 
 
작성일 : 25-04-08 08:20
‘영업이익은 급등, 노동자 수수료는 삭감’ 쿠팡CLS 성장의 그늘
 글쓴이 : 동구센터
조회 : 31  
지난해 영업수익·재무건전성 개선 … “노동자 착취 이익, 근로조건 개선에 써야”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가 본업인 물류 부문에서 수익성과 현금 흐름 모두 개선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CLS와 계약한 대리점과 택배노동자 간 수수료 삭감을 둘러싼 갈등은 계속되고 있다. 택배노동자들은 쿠팡이 영업비용을 노동자에게 전가하면서 이익을 쌓고 있는 만큼 근로조건 개선에 사용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CLS 영업이익 2.1배 늘고, 현금 156.7%↑

CLS의 지난해 순이익이 전년보다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오히려 두 배 이상 증가하며 본업에서는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CLS의 영업이익은 551억원으로 전년(262억원)대비 약 2.1배 늘었다. 로켓배송과 물류서비스 확장에 따른 물량 증가와 비용 효율화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순이익은 342억원 감소했는데, 리스부채에 따른 이자비용이 전년에 급증한 영향이다. CLS의 이자비용은 2023년 1천697억원에서 지난해 4천127억원으로 늘었다.

그럼에도 재무구조는 안정세를 되찾고 있다. 모회사 쿠팡이 번 돈을 CLS에 투입하면서 재무 건전성을 개선하는 구조다. 쿠팡은 지난해 6월 CLS 유상증자에 참여해 1천900억원을 출자했다. 이 영향으로 CLS의 자본총계가 늘면서 부채비율은 2023년 380%에서 지난해 300%로 대폭 개선됐다. 쿠팡은 안정적인 실적을 확보하고 CLS로 자금 유입을 가속화하고 있다. 쿠팡은 지난해 한국에서만 전년대비 52.5% 증가한 1조6천245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고, 같은 기간 매출도 38조2천988억원으로 21.8% 늘었다.

결과적으로 CLS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1천629억원으로 전년대비 156.7% 급증했다. 재무활동을 통한 현금을 줄었지만, 영업을 통해 벌어들인 현금이 160% 증가한 2천9억원을 기록한 결과다.

끊이지 않는 ‘수수료’ 삭감 논란

“원청 지시로 노동자에 비용 전가”

CLS의 영업실적과 재무건전성이 개선되는 동안 CLS와 계약한 대리점과 택배노동자 간 ‘수수료 삭감’ 갈등의 골은 깊어지고 있다.

최근 경기도 파주의 한 CLS대리점이 올해 택배노동자 수수료를 삭감하면서 논란이 일었다. 노동자의 배송 구역 환경에 따라 건당 수수료 130~185원을 줄이면서다. 해당 대리점에서 일하는 노동자 월평균 배달 건수가 8천건인 점을 고려하면 월 100만~150만원 수익이 감소한 셈이다.

노조에 따르면 대리점은 매년 평균 100원의 수수료를 삭감하고 있다. 노조가 택배노동자 159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지난해 대비 올해 수수료가 5% 이상 삭감된 경우는 78%에 달했다. 이 중 10~15% 삭감자는 42%였다. 반면 수수료가 동결되거나 인상된 사례는 3.8%에 불과했다. 대전의 한 대리점과 계약한 야간 노동자는 수수료가 1천원에서 800원으로 삭감돼 월 수입이 150만원 감소하기도 했다. 경기 일산 소재 대리점에서 일하는 주간 노동자도 월 수입이 135만원 줄었다.

노조는 수수료 삭감 배경에는 원청인 CLS가 있다고 주장한다. CLS가 대리점을 통해 수수료 삭감을 지시하고, 대리점이 택배노동자에게 전가하는 구조다. 택배노동자들이 항의하면 대리점은 원청이 단가를 내렸다는 이유를 내세운다는 게 노조 설명이다.

구역회수(클렌징)를 우려하는 노동자가 수수료 삭감을 수용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불리한 수수료나 구역 변경을 금지하는 표준계약서 7조2항은 무력화된 셈이다. 수수료 삭감에 대한 불안감은 노조활동 위축으로 이어지고, 결과적으로 임금 저하에 저항하지 못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노조에 따르면 CLS는 수수료 원가 공개를 금지하고 있다. 원청 CLS가 인건비 명목으로 책정한 원가를 공개하지 않으면 택배노동자는 대리점의 수수료 삭감을 납득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최상위 책임자인 원청이 수수료 삭감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자초하고 있는 셈이다

강민욱 택배노조 쿠팡본부 준비위원장은 “CLS는 통소분 분류 인력 미충원, 수수료 삭감, 저임금 프레시백 회수 등으로 영업비용 부담을 택배노동자에게 전가하고 있다”며 “결국 막대한 영업이익은 노동자 희생 위에 쌓인 만큼 수수료 인상과 근로조건 개선에 사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 : 매일노동뉴스(http://www.labortoday.co.kr)

 
   
 





오늘의 방문자 1 | 총 방문자 3816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