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관련소식

Home|최근소식|비정규직 관련소식

 
 
작성일 : 25-03-11 08:08
매장 절반이 대출담보, ‘풍전등화’ 홈플러스 노동자
 글쓴이 : 동구센터
조회 : 69  
채권자는 담보물, MBK는 자산 매각 우려 … 수천 명 일자리 잃을 가능성 제기

10일 오전 기자가 찾아간 옛 홈플러스 안산점. 한때 북적이던 매장 건물은 이제 철제 차단벽에 둘러싸여 적막만이 흘렀다. 벽면에 걸린 광고 배너와 간판이 떼어진 자리엔 ‘Homeplus’란 얼룩진 윤곽만 남아있다. 분주히 카트를 밀던 고객, 생계를 위해 바쁘게 움직이던 노동자, 매장을 지키려던 노조의 집회 소리도 모두 사려졌다. 매장 근처 빌라에는 ‘홈플러스재건축피해대책위원회’ 현수막이 걸려 있다. 마트 폐점이 인근 주민들에 남긴 상처를 가늠하게 했다.

홈플러스 안산점은 2020년 6월 부동산개발회사 ㈜화이트코리아가 부지를 인수하면서 폐점했다. 이곳은 49층 초고층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다. 안산점의 변화는 시작에 불과할지 모른다. 홈플러스가 실적 부진 끝에 기업회생에 돌입한 가운데 전국 60여개 홈플러스 매장이 채권자들의 담보로 잡히면서다.

담보 잡힌 매장 60곳, 채권자 움직임 ‘관심’

메리츠금융그룹이 MBK파트너스에게 빌려준 돈은 홈플러스 금융부채 2조원 가운데 1조2천억원 규모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메리츠그룹은 돈을 빌려줄 때 홈플러스 매장 120여곳 중 60여곳을 담보 잡고, 부동산 자산을 신탁회사에 맡기게 했다. 홈플러스가 신탁회사와 맺은 신탁계약 수익증권을 메리츠그룹에게 담보로 넘긴 것이다. 사실상 임차운영을 제외한 홈플러스 직영매장 전부인 셈이다.

홈플러스는 이달 4일 법원에 기업회생 절차를 개시했다. 홈플러스의 금융채무 상환은 회생절차 진행 중에 일부 유예되지만 신탁재산은 예외란 분석이 나온다. 메리츠그룹은 회생절차와 무관하게 기한이익상실(EOD)를 선언하고 담보권을 실행할 수 있다. 실제 담보권을 실행하면 매장들은 공매를 통한 매각 절차에 들어간다. 일각에선 메리츠그룹이 내년까지 담보권을 모두 실행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대형마트에서 아파트로, 점포 대규모 매각할 수도

홈플러스의 납품사 대금 문제까지 불거진 가운데 기업회생 절차 과정에서 MBK가 부동산 자산을 대거 매물로 내놓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지금까지 MBK는 자산유동화를 위해 자산운용사에게 점포를 매각한 뒤 임대하는 ‘세일즈앤리스백(매각 후 재임차)’을 운영해 왔다. 세일즈앤리스백의 경우 매장은 그대로 운영된다는 점에서 인력감축 피해를 어느정도 상쇄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하지만 내수부진 속에서 운용사들이 리테일 사업을 목적으로 점포 인수에 나설 가능성이 낮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미 부동산펀드를 통해 홈플러스 매장을 보유한 운용사들은 임대료 미지급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 MBK가 홈플러스 점포를 아예 폐쇄한다면 공실률 발생과 함께 자산가치 하락 가능성도 있다. MBK는 즉시 임대료는 기업회생 절차에서 임금·세금 등보다 우선변제권을 가진 ‘공익채권’이라며 진화에 나섰지만 운용사 피해는 불가피할 것이란 분위기가 지속되고 있다.

매장 폐점 후 해당 부지에 임대주택이나 상업용 부동산을 개발하려는 디벨로퍼(부동산 개발사)가 인수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된다. 실제 지난달 홈플러스 신내점을 인수한 이랜드건설은 이곳을 임대주택으로 개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홈플러스 부천소사점을 매입한 디벨로퍼 퍼스트씨엔디도 2026년까지 매장을 운영한 뒤 주상복합시설로 개발할 예정이다. 안산점 부지를 인수한 화이트코리아도 올해 중순부터 아파트와 오피스텔 착공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직영매장 노동자 평균 100~120명

현재 홈플러스 직영점에서 근무하는 노동자는 평균 100~120여명인 것으로 알려졌다. 협력업체까지 포함하면 600여명이 넘는다. 노조는 2020년부터 홈플러스 매각 반대 투쟁을 하면서 MBK측과 점포 매각 후 직영 노동자를 전환 배치하는 방안을 놓고 협상했지만, 원거리 인사배치가 이뤄지면 노동자들은 퇴사가 불가피하다.

앞서 MBK는 홈플러스를 인수한 2015년 이후 20여개 매장을 폐점했다. 이 과정에서 6천여명이 넘는 노동자가 감소한 점을 감안할 때, 메리츠그룹의 담보권 실행이 현실화하면 수천 명의 대규모 인력감축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유통학회가 발표한 ‘정부의 유통규제 영향 보고서’에서는 대형마트 점포 1곳의 평균 매출이 500억원이라고 가정할 경우 폐점시 해당 점포 직원이 945명 감소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는 “기업회생 과정에서 자산 매각이 포함된다면 홈플러스를 살리는 길이 아니라 청산하는 길”이라며 “채권단과 MBK는 상생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출처 : 매일노동뉴스(http://www.labortoday.co.kr)

 
   
 





오늘의 방문자 1 | 총 방문자 3816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