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립송파노인전문요양센터 요양보호 노동자가 고용불안에 시달리는 것으로 드러났다. 센터 직원 90%인 비정규직 요양보호사의 계약연장이 잇따라 거부된 탓이다. 노조는 송파구청이 나서야 한다는 입장이다.
돌봄서비스노조는 12일 오후 서울 송파구청 앞에서 ‘구립송파노인요양센터 대량해고사태 문제 해결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송파노인요양센터는 송파구가 설립한 공공요양시설로 사회복지법인 대한불교조계종이 위탁운영하고 있다.
노조는 최근 송파노인요양센터 노동자들이 계약만료를 이유로 잇따라 부당해고를 당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노조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김귀순 요양보호사가 계약종료 통보를 받은 후 현재까지 총 10명의 요양보호사가 계약 종료됐다. 노조는 이 중 7명이 조합원이었다면서 부당노동행위라고 비판했다.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요양보호사 60명 중 비정규직 노동자는 54명으로 알려졌다. 요양보호직 특성상 55세 이상 노동자가 많은 탓에 정규직 전환을 보장하는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기간제법)에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노조는 송파구청이 요양보호사 근무환경 개선에 책임이 있다는 입장이다. 송파구 장기요양요원 처우 개선 및 지위 향상 등에 관한 조례 3조에 따르면 구청장이 장기요양요원의 처우 개선 및 지위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노조는 “90%에 달하는 비정규직 요양보호사들이 일방적인 계약종료로 줄줄이 일터에서 쫓겨나고 있다”면서 “정규직 비중을 높이고 고용불안을 해소하는 것은 지자체 책임”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