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소식

  • 공지사항
  • 비정규직 관련소식

구청장인사말

Home|최근소식|비정규직 관련소식

 
 
작성일 : 14-06-12 11:29
현대자동차 산업재해 ‘불명예 질주’
 글쓴이 : 동구센터
조회 : 2,682  


ㆍ현대자동차 산업재해 ‘불명예 질주’ 최근 5년 동안 울산공장이 1위… 그 뒤로 기아차 화성공장, 현대중공업 순

산업재해가 가장 많이 일어나는 대기업 사업장은 현대가(家) 계열사인 것으로 드러났다. 고용노동부가 국회 환경노동위 소속의 홍영표 의원(새정치민주연합)에게 제출한 ‘1000인 이상 사업장 산업재해 현황’에서 최근 5년 동안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이 산업재해자 수에서 불명예 1위를 ‘꾸준히’ 차지했다. 불명예 2위 자리는 같은 현대자동차그룹 소속인 기아자동차 화성공장이 차지했다. 3위는 최근 산업재해로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한 현대중공업이었다. 비록 이들 기업이 현대자동차그룹과 현대중공업그룹으로 분리돼 있긴 하지만 뿌리가 같은 현대가 사업장에서 산업재해 발생자 1~3위가 나온 것은 우연으로 보아 넘길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은 지난해 재해자 수가 277명에 이르렀다. 이 중 사망자는 3명이었다.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은 2009년 재해자 수 376명(사망자 없음)을 정점으로, 2010년 350명(사망자 4명), 2011년 296명(사망자 4명), 2012년 321명(사망자 3명)으로 다소 감소 추세이긴 하지만 매년 재해자 수가 300명 안팎에 이르렀다.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산업재해라고 하면 흔히 공장 내 중대 재해사고를 떠올리지만 고용노동부 통계에 나타난 현대자동차의 산업재해에서는 근골격계 질환의 비율이 높다”면서 “자동차 제조업의 특성상 반복되는 작업 때문에 근골격계 질환이 산업재해로 인정받은 케이스가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근골격계 질환이 30%가량 차지하고 있으며 교통사고가 25% 정도”라며 “나머지 공장 내 사고도 작업 사고 외에 작업 외 사고도 많다”고 말했다.

같은 현대자동차그룹 소속인 기아자동차 화성공장은 2013년에는 재해자 수가 218명(사망자 없음)으로 2012년 214명(사망자 1명)에 비해 4명 늘었다.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등이 참여한 산재사망 대책 마련을 위한 공동 캠페인단이 현장 노동자의 안전 장비 앞에 헌화하고 있다. /강윤중 기자


현대기아차 공장 5곳 10위권에

현대차 울산공장과 기아차 화성공장 외에도 현대자동차그룹에 속하는 사업장으로는 현대차 전주공장, 기아차 소하리 공장, 기아차 광주공장이 매년 50명 이상의 재해자 수를 기록해 최다 재해자 수 10위권 안에 불명예스러운 이름을 올려놓았다. 현대차 관계자는 “통계로 보면 현대·기아차 계열사에서 산재 건수가 많지만 작업 인원이 많고 중대재해가 많지 않음을 감안해야 한다”면서 “산재 건수가 많다는 것은 그만큼 기업이 투명하고 웬만한 부상도 산재로 처리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현대자동차그룹에 속하는 현대제철과 현대로템주식회사도 산업재해자 수가 많았다. 현대제철의 경우 현대제철주식회사와 현대제철 당진공장, 현대제철 포항공장에서 매년 각각 10명 안팎의 산업재해자들이 발생했다. 특히 현대제철 당진공장에서는 지난해 이 숫자가 40명으로 부쩍 늘어났다. 현대제철 당진공장은 지난해 잇따른 노동자 사망사고로 고용노동부로부터 안전관리 위기사업장으로 지정된 바 있다. 하지만 고용노동부 통계에는 사망자가 한 명도 없었다. 협력업체 노동자가 사망했기 때문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5월 28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산재예방 정책 최고경영자(CEO) 간담회’를 열고 산재예방정책을 집중 논의했다. 이 간담회에서 나온 기업별 주요 안전관리 강화 내용에 따르면 현대자동차는 국내 모든 사업장에 안전점검 전담부서를 신설하고 인력을 충원하겠다고 밝혔으며, 현대제철은 안전경영총괄대책위를 신설해 종합안전체제를 구축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최근 대주주의 서울시장 선거 출마로 논란이 된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180명의 재해자 수에 사망자가 무려 7명에 다다랐다. 다른 사업장과 비교하면 재해자 수에 비해 사망자 수가 많았다. 2012년에는 재해자 수 188명에 사망자 수 7명으로 지난해와 거의 비슷했다.

금속노조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8명(직영 5명, 하청 3명), 올해 5명(하청 5명)이 산업재해로 사망했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일방적으로 하청사에 위험한 작업을 맡기는 것이 아니다”라면서 “현대중공업 직원의 경우 평균 20년 이상의 숙련작업자가 많은 데 비해 협력사는 경력이 불과 2~3년밖에 안 된 분들이 많기 때문에 협력사에서 사고가 더 많이 발생하는 것처럼 보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금속노조가 집계한 자료에 의하면 1974년부터 올해까지 현대중공업에서 사망한 노동자는 모두 388명에 이른다. 1993년까지는 사망자가 모두 직영 노동자였으나, 1993년부터 하청 노동자의 사망자 숫자가 등장해 이후 직영 노동자와 비슷한 수치의 사망자가 생겼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노조에서 주장하는 누적 수치는 회사에서 파악하는 수치와 거의 비슷하다”면서 “하지만 사고율이 높은 조선업의 평균을 따지면 재해율이 높은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협력사를 포함해 4만명의 노동자가 일하는 것을 감안하면 재해율이 낮은 편인데, 올해 3월과 4월에 산재가 많이 발생해 회사에서도 3000억원을 투입해 안전에 만전을 기하려고 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중공업은 최근 경총 회의에 제출한 안전관리 강화계획에서 대표이사 직속 안전환경실을 신설해 실장을 부사장급으로 격상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현대중공업은 또 안전 전담요원을 80명에서 210여명으로 증원하겠다고 밝혔다. 금속노조 박세민 노동안전보건실장은 “돈으로 안전을 사는 방식으로 사망사고를 줄일 수 없다”면서 “조선업은 특히 산업재해율이 높은데, 여기에는 하청에 하청을 주는 다단계 도급계약이 만연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조선업, 다른 업종 비해 산업재해 많아


실제로 고용노동부 통계에서도 조선업의 산업재해자는 다른 업종에 비해 훨씬 많았다. 지난해 산업재해 현황에서 현대중공업이 재해자 수에서 3위를 차지한 데 이어, 삼성중공업㈜이 81명의 재해자(사망자 0명), 대우조선해양㈜이 66명의 재해자(사망자 1명), 성동조선해양㈜이 39명의 재해자(사망자 0명), STX조선해양㈜ 진해가 33명의 재해자(사망자 0명), 현대삼호중공업㈜이 25명의 재해자(사망자 1명)로 나타나 있다. 이 통계 역시 금속노조가 갖고 있는 중대재해 사망자 수치와 맞지 않는다. 실제로 산업재해로 사망한 노동자가 하청업체에서 일했을 가능성이 높다. 금속노조 박세민 실장은 “조선업계에서 최저가 입찰이나 톤당 작업단가 후려치기, 안전확보 없는 공기단축과 같은 관행이 없어져야 산업재해를 크게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불산 누출사고와 반도체 공장 질병 사망으로 논란의 대상이 된 삼성전자는 지난해 기흥공장에서 50명의 재해자(사망자 없음)가 생겼고 반도체사업부 화성캠퍼스에서 35명의 재해자 수에 1명의 사망자가 통계에 올라 있다. 2012년 자료에는 삼성전자의 한 사업장에서 32명의 재해자 수(사망 1명) 외에 또 다른 사업장에서 19명의 재해자 수(사망 3명)가 기록됐다. 새정치민주연합의 홍영표 의원은 “산업재해는 현장의 부주의만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이 안전에 대한 투자에 인색하고 하청업체로 위험이 외주화됨으로써 생긴다”면서 “정부의 친기업적 정책과 이윤추구 기업환경이라는 조건이 집약된 비극”이라고 말했다.


 
   
 





오늘의 방문자 1 | 총 방문자 381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