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노총과 전국노점상총연합 등 노동자ㆍ농민ㆍ빈민단체 회원들이 13일 오후 서울역광장에서 '노동인권 유린 삼성규탄ㆍ세월호참사 진상규명ㆍ민중생존권 쟁취 시국대회'를 마친 뒤 서울광장 방향으로 행진하고 있다. 정기훈 기자
민주노총 다음달 22일 동맹파업 … “박근혜 정부 퇴진하라”
임단협 시기집중 정치파업, 노·농·빈민 단체 13일 시국대회 열어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과 박근혜 정부 퇴진을 요구하며 이달 28일 총궐기 투쟁을 예고한 민주노총이 다음달 22일에는 동맹파업을 벌인다. 각 사업장의 임금·단체협상과 맞물리면서 노사정 갈등이 고조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노총은 15일 "주요 산별연맹의 임단협 투쟁이 다음달 중순에 집중됨에 따라 같은달 22일 정치파업 성격을 띤 동맹파업을 진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달 28일 총궐기 투쟁이 간부 중심의 대규모 집회인 반면, 동맹파업은 임단협을 통해 합법적인 쟁의권을 확보한 사업장들이 실제 파업에 나선다. 금속노조와 건설산업연맹·서비스연맹이 중심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산재사망 사고사업장 사용주 처벌과 적정임금 보장을 요구하고 있는 건설산업연맹은 다음달 22일 총파업을 벌이기로 이미 확정한 상태다. 서비스연맹은 비슷한 시기에 홈플러스노조가 쟁의행위에 나선다.
금속노조와 금속산업사용자협의회는 이달 10일까지 7차례에 걸쳐 산별중앙교섭을 진행했지만, 사용자측이 통상임금 범위 확대와 노동시간단축 등 주요 쟁점에 대해 입장을 제출하지 않으면서 교섭에 난항을 겪고 있다. 노조는 민주노총 동맹파업 시기에 쟁의행위에 들어갈 계획이다.
동맹파업 당일 의료법인 부대사업 범위 확대를 골자로 한 의료법 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가 끝나기 때문에 보건의료노조도 동맹파업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 노조는 이달 24일 1차 파업을 준비 중이다.
민주노총은 28일 총궐기 투쟁과 다음달 22일 동맹파업을 위해 각 지역본부별로 단위노조 대표자 결의대회와 확대간부 결의대회를 개최하기로 했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이달 안에 정치파업을 하는 것이 당초 계획이었지만, 각 산별연맹과 단위노조의 임단협 일정을 고려해 7월에 동맹파업을 벌이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민주노총과 전국농민회총연맹·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전국빈민연합·빈민해방실천연대·민중의 힘은 지난 13일 오후 서울역광장에서 8천여명이 모인 가운데 ‘민중생존권 쟁취 시국대회’를 열었다.
시국대회 참가자들은 △비정규직 철폐와 최저임금 대폭 인상 △삼성의 노동탄압 중단 △노점상 보호 특별법 제정 △자유무역협정(FTA)·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중단 △철도·의료 민영화 중단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과 박근혜 대통령 조사를 요구했다.
이들 단체는 공동결의문을 통해 “정부가 요구안을 수용하지 않으면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위해 박근혜 정부 퇴진투쟁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민주노총과 농민·빈민단체는 총궐기 투쟁이 예정된 28일 2차 시국대회를 개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