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관련소식

Home|최근소식|비정규직 관련소식

 
 
작성일 : 16-02-19 17:04
펌 울산매일신문> “내가 원청 갑질에 산재사고 은폐했다”
 글쓴이 : 동구센터
조회 : 1,628  


▲ 17일 현대중공업 협력사대책위원회 이재왕 위원장이 내부고발을 위해 증거물을 들고 검찰청에 들어서고 있다.

“내가 원청 갑질에 산재사고 은폐했다” 이재왕 現重 협력사대책위 위원장, 검찰에 자진출두
하청업체 직원 작업중 크레인 사고, 일반사고로 둔갑 원청 임원 제안 수용 대가 직영업체 물량 맡아 처리
매달 500만∼800만원 총 7,000여만원 상납하기도 ‘내부자 고발’ 방식 하청사 보상 협의 압박 카드인 듯



현대중공업 사내 협력업체 전 대표가 ‘산재은폐와 뇌물수수 사실을 고발하겠다’며 17일 자수 형태로 검찰에 출두해 조사를 받아 파문이 예상된다. 지난해 말 사내협력사 대표가 기성금 삭감 등에 따른 경영악화로 고민하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이후 진행된 원청과 협력사 간의 협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자 ‘내부자 고발’이라는 방식으로 원청을 압박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날 오후 1시 울산지방검찰청. 현대중공업 협력사대책위원회 이재왕 위원장이 내부고발을 위해 증거자료 등을 가지고 검찰 특수부를 찾았다.

이 위원장은 검찰 출두 전 본지 인터뷰를 자청해 “원청과 함께 직접 산재사고를 일반사고로 둔갑시켰고, 이를 계기로 물량팀을 맡은 후에는 원청 직원들에게 정기적으로 상납을 했다”면서 “내가 했던 모든 일을 알려서 반드시 원청의 비리를 밝히겠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에 따르면 지난 2011년 12월 현대중공업 2야드에서 작업을 하던 직영크레인으로 인해 하청업체 ㈜부건에서 일하던 A씨가 무릎연골 등을 다쳐 전치 48주의 부상을 입었다. 사고를 수습하던 원청의 임원은 ㈜부건의 현장 소장으로 일하던 이 위원장에게 ‘산재사고로 처리하면 승진이 어렵다’며 A씨 사고를 함께 은폐할 것을 제안한다. 이 위원장은 사후에 대한 원청의 보상도 있었다고 전했다.

이 위원장은 원청 임원의 제안을 뿌리치지 못하고 A씨 등의 치료비를 개인이 부담하는 형식으로 산재신청을 하지 않고 일반사고로 처리했다.

이후 이 위원장은 (주)부건의 직원 60명과 함께 직영업체의 물량팀 일을 맡게 된다. 이 물량팀은 정식으로 등록된 업체도 아닐뿐더러 소속도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었다. 그런데도 이 위원장과 직원들은 직영업체의 물량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일했으며, 정식 계약을 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일한 금액을 바로 현찰로 지급받는 형태로 운영됐다.

이 위원장은 “이렇게 받은 월급으로 2012년 3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산재은폐를 위해 A씨와 2012년 5월 발생한 사고 등 처리를 위해 6,000만원 가량을 썼다”면서 “또 매월 500~800만원 가량 총 7,000여만원을 원청의 예산담당 및 공사 담당 직원들에게 상납했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상납은 해양플랜트 하청업체를 맡아 운영하기 시작한 2013년 3월이 돼서야 끝이 난다.

이 위원장은 “당시 임원과 부서장은 현재 고위간부급으로 승진했고, 당시 매월 돈을 상납 받던 직원들도 승진해 여전히 현대중공업에서 일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내부 고발을 하게 된 이유를 묻자 이 위원장은 “현대중공업이 하청업체들의 피해에 대한 최소한의 성의를 보이기를 기대했지만, 시간끌기를 하고 있다”면서 “현대중공업은 대책위와 협상을 할 생각이 없다는 것을 느꼈다. 각 업체당 일괄 보상(3억 5,000만원) 하는 것으로 모든 것을 해결하려 하고 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와 관련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기록에 따르면 지난 2012년 ㈜부건 기업은 경영악화로 인해 폐업했다”면서 “당시 임원에게 확인한 결과 ‘산재은폐가 없었던 것으로 기억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실제 당시 임원이었던 고위 간부는 이날 본지와 통화에서 “당시 현장 사고와 사고 처리에 대한 특별한 기억이 없다”면서 “지난주 이 위원장이 연락해 와 이 문제를 거론하긴 했지만 당시에도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했다”고 밝혔다.


 
   
 





오늘의 방문자 1 | 총 방문자 3816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