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터소개
구청장인사말
센터소개
조직도
조례·규칙
찾아오시는길
최근소식
공지사항
비정규직 관련소식
노동관련소식
노동상식
법률상식
최신판례
자료실
노동관련법규
문서·서식
활동사진
활동영상
상담게시판
공개상담·비공개상담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추천사이트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Home
|
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 글답변 ::
이 름
패스워드
이메일
홈페이지
옵 션
html
제 목
> > > 산업은행 노동자 10명 중 8명 "서별관회의 청문회 필요" > > 산업은행지부 현안 설문조사 … 박용진 의원 "서별관회의 관련자 퇴진 요구할 것" > > > 산업은행 노동자 대다수가 ‘서별관회의’에 대한 국정조사나 청문회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조정 실패 책임을 지더라도 독립적인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 > 국회 정무위원회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노조 산업은행지부에게서 받은 ‘2016년 한국산업은행-주요 현안에 대한 전직원 의견 수렴조사 결과 보고서’를 분석해 1일 공개한 내용이다. 의견조사에는 임원을 제외한 산업은행 직원 2천144명이 참여했다. 지난달 지부가 코리아리서치에 의뢰해 모바일·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 > 조사 결과 “국정감사나 청문회 개최에 공감하지만 서별관 회의 당사자들은 빠질 것 같아 우려된다”는 의견이 응답자의 42.3%로 가장 많았다. “국정감사나 청문회 개최가 필요하며 재발방지를 위해 한국산업은행법 개정도 다뤄져야 한다”는 대답도 36.8%를 기록했다. 80%에 가까운 산업은행 노동자들이 서별관회의 관련 청문회와 국정감사를 원하고 있다는 얘기다. > > 구조조정 실패 원인과 해법을 묻는 내용도 이어졌다. “국책은행에 독립적 권한을 부여하고 구조조정에 실패할 경우 책임을 지우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67.2%로 “구조조정 역할 자체를 축소해야 한다”는 의견(25.1%)을 앞질렀다. 구조조정을 주도하도록 권한을 주면,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겠다는 의견이 많다는 뜻이다. > > 정부가 주장하고 있는 산업은행 자본확충에 대해서는 “자본확충이 필요 없는 상황에서 자구계획이 포함된 자본확충은 합당하지 않다”는 의견이 68.9%로 가장 많았다. 정부가 지난 6월 발표한 산업은행 자체 구조조정안에 대해서는 “일방적으로 요구한 자구계획안이자 정부의 부실책임 면피용이기에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의견이 66.1%였다. > > 박 의원은 “부실기업 지원 결정의 책임은 서별관회의에, 이를 실행한 책임은 산업은행 이사회에 있다”며 “해운·조선업 구조조정 관련 기획재정위원회·정무위원회 연석청문회에서 서별관회의 관련자는 물론 이 결정을 추인한 산업은행 이사진에 대해서도 책임 소재를 분명히 가려 필요하다면 퇴진까지도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
링크 #1
링크 #2
파일첨부
왼쪽의 글자를 입력하세요.
오늘의 방문자
1
| 총 방문자
381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