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터소개
구청장인사말
센터소개
조직도
조례·규칙
찾아오시는길
최근소식
공지사항
비정규직 관련소식
노동관련소식
노동상식
법률상식
최신판례
자료실
노동관련법규
문서·서식
활동사진
활동영상
상담게시판
공개상담·비공개상담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추천사이트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Home
|
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 글답변 ::
이 름
패스워드
이메일
홈페이지
옵 션
html
제 목
> > > “다른 회사 중복근무 이유만으로 체당금 반환명령 안 돼” > 권익위 “근로관계 단절 등 부정행위 판단 신중해야” > > >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A사에 근무하던 B씨는 2012년 회사가 도산해 퇴직금을 받지 못했다. 이에 B씨는 근로복지공단에서 체당금을 지급받았다. 그런데 공단은 B씨가 A사에 근무하던 기간 중 C사에서 중복근무를 했다는 이유로 체당금 반환명령을 하는 동시에 부정이득액 추가징수 처분을 했다. > > 이에 대해 국민권익위원회는 12일 "체당금을 지급받은 기간 중 다른 회사에서 근무했다는 이유만으로 체당금 반환명령을 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임금채권보장법 제7조(체불임금 등의 지급)와 제14조(부당이득의 환수)에 따르면 고용노동부 장관은 사업주 파산 등을 이유로 퇴직근로자가 받지 못한 미지급 임금을 대신 지급한다. 근로자가 거짓이나 부정한 방법으로 체당금이나 융자금을 받았다면 반환을 요구할 수 있다. > > 권익위에 따르면 B씨는 A사에서 2007년 12월20일부터 2011년 2월18일까지 근무했다. 또 C사에서 2008년 11월에 3일간, 같은해 12월에는 16일간 두 차례 임금을 받았다. > > 하지만 B씨는 C사에서 근무한 사실이 없고 A사 현장소장의 요구로 C사로부터 입금된 금액을 현장소장에게 돌려줬다고 일관되게 진술했다. 또한 A사는 B씨에게 근로계약 해지통보를 한 바 없고, B씨는 C사 현장소장과 대표이사를 상대로 사문서 위조를 통한 중복근무 조작 혐의로 검찰에 고소장을 제출한 상태다. > > 권익위는 “일시적으로 다른 사업장에서 중복근무를 했다는 이유만으로 A사와의 근로관계가 단절됐다고 볼 수 없다”며 “체당금 부정행위 중 중복근무 여부를 판단할 때 근로관계 단절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B씨에게 내려진 체당금 반환명령과 부정이득액 추가징수 처분은 취소됐다. >
링크 #1
링크 #2
파일첨부
왼쪽의 글자를 입력하세요.
오늘의 방문자
1
| 총 방문자
381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