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청소식  보기

산사태 피해예방 안전 교육 안내

  • 작성자 정용제
  • 조회수 26
  • 작성일 2025-07-07
와르르르 산사태 이럴 땐 어떻게 하죠? 산사태로 부터 우리를 지키는 산사태 대비 안전 교육
목차 "산사태에 대해서 차근차근 알아봐요!" 01 산사태란 무엇일까? 02 산사태를 피해를 예방하려면? 03 우리집은 안전할까?
01. 산사태란 무엇일까? Q1 산사태란 무엇인가요? · 산사태: 자연적 또는 인위적 원인ㄴ에 의해 산지가 한번에 붕괴되는 현상 · 토석류: 산지 또는 계곡에서 돌·나무 등이 물과 섞여 빠르게 유출 Q2 산사태는 왜 일어날까? 장마·태풍 등으로 인한 집중호우 지진 화산폭발 · 우리나라의 산사태는 주로 장마·태풍 등으로 인한 집중호우로 발생 · 해외에서는 드물게 지진이나 화산폭발로 인해 산사태가 발생하기도 함
01. 산사태란 무엇일까? "우리가 살고 있는 대한민국" 산사태는 얼마나 발생하고 있을까? 01 최근 우리나라 산사태 피해는 얼마나 발생했을까? · 최근 10년간(2014~2023) 우리나라에서는 2,586ha의 산사태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축구 경기장 약 3,700개를 합친 넓이와 비슷함 · 특히 역대 최장기간 장마를 기록한 202년에는 1,343ha의 피해가 발생하여 3천억원 이상이 복루를 위해 투입됨 02 최근 10년간 산사태로 인한 인명피해는? 27명 03 최근 10년간 산사태가 가장 많이 발생한 지역은? 충청권역 821ha 영남권역 727ha 호남권역 410ha 04 최근 10년간(2014년~2023년) 산사태 복구를 위해 투입된 복구비용은? 매년 평균 약 650억 투입 6,490억원
02. 산사태를 피해를 예방하려면? "잊지말고, 기억해요!" STEP 1 산사태 발생 전 미리미리 점검하고! 집 근처 배수시설 등을 점검하고 위험요인 발견시 시·군·구청 및 행정복지센터에 신고하세요 STEP 2 산사태 발생 시 빨리빨리 대피하고! 산사태 방향과 멀어지는 방향, 가장 안전한 높은곳으로 대피하세요 STEP 3 산사태 발생 후 어서어서 신고하고! 매몰자나 부상자가 있을경우 소방서(119)에 신고하세요
02. 산사태를 피해를 예방하려면? STEP 1 산사태 발생전 집 근처 배수시설 등을 점검하고 위험요인 발견시 시·군·구청 및 행정복지센터에 신고하세요 STEP 1 집주변을 정비하자! 집 주변 배수로 또는 산비탈 덮기 등으로 위험요인을 없애고 정비합니다. STEP 2 위험상황을 확인하자! 기상정보와 산사태 예보발령 정보 등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미리 대비합니다. STEP 3 대피계획을 세우자! 집 주변 산사태 대피소를 확인하고 비상 연락방법 등을 미리 계획합니다. STEP 4 대피 명령시 신속하게 대피하자! 대피 명령이 발령되면 마을회관, 학교 등 사전에 지정된 장소로 즉시 대피합니다.
02. 산사태를 피해를 예방하려면? STEP 2 산사태 발생 시 산사태 방향과 멀어지는 방향, 가장 안전한 높은곳으로 대피하세요 CASE 1 대피가 불가능한 경우 대피할 수 없어 건물 안에 머무는 경우 가능한 건물에서 가장 높은 층, 산과 멀리 있는 공간으로 대피합니다. CASE 2 운전을 하고 있을 경우 운전 중에는 안전거리를 확보한 상태로 저속운행하며, 산사태 위험구간을 우회하여 신속하게 빠져나갑니다. CASE 3 하천이나 강을 건너야 하는 경우 무리하여 건너지 않고 인근의 튼튼한 건물 등 안전한 장소로 이동합니다. CASE 4 등산 중일 경우 산사태는 위에서 아래로 진행되므로, 대피할 때 산사태 방향과 반대로, 가장 가까운 높은 곳으로 대피합니다.
02. 산사태를 피해를 예방하려면? STEP 3 산사태 발생 후 매몰자나 부상자가 있을 경우 소방서(119)에 신고하고 주변 위험 상황을 확인하세요 CASE 1 매몰자나 부상자가 있는지 확인 매몰자나 행방불명자가 있을 경우 즉시 119에 신고하고, 부상자가 있을 경우 구급차량을 이용하여 인근 병원으로 이송합니다. CASE 2 산사태 피해지역 접근 주의 산사태가 발생한 장소는 추가 붕괴가 발생할 수 있으니 피해 지역으로 접근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CASE 3 주변의 이상 유무에 따라 귀가 판단 거주시 시·군·구청 및 행정복지센터 등의 안내를 받아 행동해야 하며, 집·건물 등 주변의 이상 유무에 따라 귀가 여부를 판단합니다. CASE 4 추가 피해가 우려될 경우 신고하기 집(주택, 건물) 주변 및 공공시설 등에 추가 피해가 우려될 경우 시·군·구청 및 행정복지센터 등에 신고합니다.
03. 우리집은 안전할까? "내가 살고있는 우리 동네" 어디가 산사태 발생 위험이 가장 높을까? 산사태정보시스템 내 산사태위험지도 확인! → 산사태정보시스팀(www.sansatai.forest.go.kr)에서 누구나 확인 가능!
03. 우리집은 안전할까? "산사태가 발생하면" 어디로 대피 해야 안전할까? 산사태정보시스템 취약지역 대피소 메뉴 확인! 스마트 산림재난(어플) 행안부 안전디딤돌(어플) → 산사태정보시스템(www.sansatai.forest.go.kr), 스마트 산림재난 앱, 안전디딤돌 에서 누구나 확인 가능!
산사태 막을 수는 없어도, 피할 수는 있습니다. 산림청
현재 콘텐츠 업무 담당부서는 화정동 (☎ 0522094210)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