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사항  보기

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STSS) 예방안내

  • 담당부서 보건행정과
  • 조회수 479
  • 작성일 2024-04-08
  • 연락처 052-209-6922
  A군 연쇄상구균에 의한 침습성 감염으로 드물게 발생하는 독성 쇼크 증후군

현황
  - 유럽: 2022년 하반기 침습성 A군 연쇄상구균 및 성홍열로 인한 사망 사례가 확인되었으나 세계 보건기구(WHO)에서는 유럽 내 A군 연쇄상구균 감염이 완만하게 증가하였고 실험실 감시에서 항생제 내성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새로운 변이가 발생되지 않아 일반인 감염 위험성은 낮게 평가
  - 일본: 2023년 941명으로 역대 최대 발생, 2024년 9주차까지 일본 전체 47개 현 중 45개 현에서 414건 발생 보고되어 증가 예상, 원인규명을 위한 조사중
  - 국내: 1980년대부터 침윤성 연쇄구균 감염증 증가, 2000년 연쇄상구균 독성쇼크 증후군이 최초 보고 되었으나 국내에서는 드물게 발생중

임상증상
  - 초   반: 인플루엔자와 유사한 호흡기 증상(고열, 오한, 근육통, 메스꺼움, 구토) 등 발생
  - 중후반: 저혈압, 빈맥, 호흡곤란, 피부괴사, 패혈증, 다발성 장기부전

감염경로
  - 점막 또는 상처 부위 통해 주로 감염, 비말 감염도 가능
  - 2차전파 사례는 드물지만 발생할 수 있음

고위험군
  - 65세 이상 고령층
  - 최근 수술 받은경우(상처가 있는 경우 등)
  - 노출되는 상처가 발생할 수 있는 바이러스 감염(수두 등)
  - 알코올 의존증 및 당뇨병 환자

치료
  - 조기 진단 및 치료 중요
  - 입원 치료(수액, 항생제 투여), 감염 조직의 수술(제거)
  - 면역 글로불린 및 스테로이드 등 투여, 대증 치료

예방수칙
  - 기침예절 실천
  - 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
  - 씻지 않은 손으로 눈,코,입 만지지 않기
  - 의심증상 발생 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적절한 진료 받기 (※고열, 발진, 심각한 근육통, 상처부위의 발적, 부종 등 )
  - 상처 부위를 깨끗하게 소독하고 상처부위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
  - 수두 및 인플루엔자 백신접종 권고 (※인플루엔자 및 수두 감염시 A군 연쇄상구균 감염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음)
"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울산광역시 동구청이(가) 창작한 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STSS) 예방안내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