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재난 
				
			
			
				
			
             	
              
            
			 
			
				분야별정보 > 재난안전 > 재난예방 > 자연재난
			
			
			
			
		
		
	
		
	
	
	
		
	
	
		태풍주의보 발령시
도시지역
	-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 등 재해위험지구 주민대피 준비
 
	- 대형공사장, 위험축대 등 시설물 점검ㆍ정비
 
	- 가로등, 신호등 및 고압전선 접근금지
 
	- 옥내외 전기수리 금지
 
	- 각종 공사장의 안전조치
 
	- 고속도로 이용차량 감속운행
 
	- 천둥ㆍ번개 등 낙뇌시 낮은지역 또는 건물안 등 안전지대로 대피
 
	- 입간판, 창문틀 등 낙하위험시설물의 제거 또는 결속
 
	- 송전철탑의 도괴 또는 누전ㆍ방전 발견시 인근 기관이나 한전에 동시연락
 
	- 아파트 등 대형 및 고층건물의 출입문ㆍ창문 등은 굳게 잠글 것
 
	- 노약자, 어린이 외출금지
 
	- 라디오, TV 등에 의한 기상예보 및 태풍상황 청취 등
 
농촌지역
	-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 등 재해위험지구 주민대피 준비
 
	- 주택주변의 산사태 등 점검 및 주민대피 준비
 
	- 고압전선 접근금지
 
	- 옥내외 전기수리 금지
 
	- 각종 공사장의 안전조치
 
	- 천둥ㆍ번개 등 뇌우시 가로수주변은 피하고 낮은 지역 또는 건물안 등 안전지대로 대피
 
	- 지붕결박 및 낙하위험 시설물의 제거 또는 결속
 
	- 송전철탑의 도괴 또는 누전ㆍ방전 발견시 인근 기관이나 한전에 동시연락
 
	- 출입문ㆍ창문 등은 굳게 닫고 잠글 것
 
	- 노약자, 어린이 외출금지
 
	- 라디오, TV 등에 의한 기상예보 및 태풍상황 청취
 
	- 농작물 보호조치
 
	- 용ㆍ배수로 점검
 
	- 소하천 및 간이 취입보 등의 정비
 
	- 산간계곡 야영객 대피
 
	- 농촌시설보호 및 보강 등
 
해안지역
	-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 등 재해위험지구 주민대피 준비
 
	- 해안가 위험축대 등 시설물 점검 및 임시철거
 
	-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 영업자제 및 대피조치
 
	- 가로등 및 고압전선 접근금지
 
	- 옥내외 전기수리 금지
 
	- 각종 공사장의 안전조치
 
	- 해안도로 운행제한
 
	- 천둥ㆍ번개 등 뇌우시 낮은지역 또는 인근 가옥으로 대피
 
	- 입간판, 가옥지붕 결박 및 낙하위험 시설물의 제거 또는 결속
 
	- 송전철탑의 도괴 또는 누전ㆍ방전 발견시 인근 기관이나 한전에 동시연락
 
	- 출입문ㆍ창문 등은 굳게 닫고 잠글 것
 
	- 노약자, 어린이 외출금지
 
	- 라디오, TV 등에 의한 기상예보 및 태풍상황 청취
 
	- 해안ㆍ저지대 위험 지역에 대한 경계 강화 및 주민안전지대 대피 준비
 
	- 선박출항의 엄격한 통제와 안전결박 및 조업어선 신속조치
 
	- 철거가능한 어로시설 및 수산증식 시설의 철거
 
	- 해수욕장 폐쇄 및 가 시설물 철거 등
 
태풍경보 발령시
도시지역
	-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 등 재해위험지구 주민대피
 
	- 대형공사장, 위험축대 등 시설물 주변 접근금지
 
	- 가로등, 신호등 및 고압전선 접근금지
 
	- 침수도로구간의 보행ㆍ접근금지
 
	-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 영업중지 및 대피조치
 
	- 건물 입간판 및 위험시설물주변 보행ㆍ접근 금지
 
	- 아파트 등 대형ㆍ고층건물의 유리창 테이핑 등 고정조치
 
	- 옥내외 전기설비 고장시 수리금지
 
	- 피해개소에 대한 응급복구
 
	- 수방자재 및 구호물자의 활용
 
	- 천둥ㆍ번개 등 낙뇌시 낮은지역 또는 건물안 등 안전지대로 대피
 
	- 위험 시설물의 사전 제거
 
	- 고속도로 이용차량의 감속운행
 
	- 라디오, TV 등에 의한 기상예보 및 홍수예보 청취
 
	- 아파트 등 고층건물 옥상, 지하실 및 하수도 맨홀 등 접근금지
 
	- 정전대비 비상대처준비 및 비상시 연락방법, 교통이용수단 확인 등
 
농촌지역
	-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 등 재해위험지구 주민대피
 
	- 주택주변의 산사태 등 점검 및 주민대피 준비
 
	- 옥내외 전기설비 고장시 수리금지
 
	- 피해개소에 대한 응급복구
 
	- 수방자재 및 구호물자의 활용
 
	- 천둥ㆍ번개 등 뇌우시 가로수주변은 피하고 낮은 지역 또는 건물안 등 안전지대로 대피
 
	- 위험시설물의 사전제거
 
	- 라디오, TV 등에 의한 기상예보 및 홍수예보 청취
 
	- 농작물 보호조치
 
	- 용ㆍ배수로 보수
 
	- 논둑 보수 및 물꼬조정
 
	- 소규모 교량은 안전확인 후 이용
 
	- 산사태위험지구 경계강화 및 접근금지
 
	- 산간계곡 야영객 대피
 
	- 농림시설결박 및 보호조치 강화
 
	- 이웃간 연락방법 및 비상시 대피방법 확인
 
	- 농기계 등 안전조치 및 가축 등 대피조치
 
	- 비닐하우스, 인삼재배시설 등 결박조치 등
 
해안지역
	-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 등 재해위험지구 주민대피
 
	- 해안가 위험축대 등 시설물 점검 및 임시철거
 
	-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 영업중지 및 대피조치
 
	- 옥내외 전기설비 고장시 수리금지
 
	- 피해개소에 대한 응급복구
 
	- 수방자재 및 구호물자의 활용
 
	- 천둥ㆍ번개 등 낙뢰시 작업장 안전조치
 
	- 위험 시설물의 사전제거
 
	- 해안도로 차량이용 통제
 
	- 라디오, TV 등에 의한 기상예보 및 홍수예보 청취
 
	- 연안저지대 주민 경계강화 및 주민 안전지대 대피
 
	- 소규모 교량 등은 안전확인 후 이용
 
	- 선박 인양 안전조치 및 어망ㆍ어구 등 안전지대 이동조치
 
	- 고층건물, 해안가, 항구, 낙하물 발생예상지역 등 접근금지
 
	- 비상시 연락방법, 교통이용수단 확인 등
 
	 
	
		호우주의보 발령시
도시지역
	-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 등 재해위험지구 주민대피 준비
 
	- 대형공사장, 위험축대 등 시설물 점검ㆍ정비
 
	- 가로등, 신호등 및 고압전선 접근금지
 
	- 옥내외 전기수리 금지
 
	- 각종 공사장의 안전조치
 
	- 고속도로 이용차량 감속운행
 
	- 천둥ㆍ번개 등 낙뇌시 낮은지역 또는 건물안 등 안전지대로 대피
 
	- 입간판, 창문틀 등 낙하위험시설물의 제거 또는 결속
 
	- 송전철탑의 도괴 또는 누전ㆍ방전 발견시 인근 기관이나 한전에 동시연락
 
	- 아파트 등 대형 및 고층건물의 출입문ㆍ창문 등은 굳게 닫고 잠글 것
 
	- 노약자, 어린이 외출금지
 
	- 라디오, TV 등에 의한 기상예보 및 호우상황 청취 등
 
농촌지역
	-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 등 재해위험지구 주민대피 준비
 
	- 주택주변의 산사태 등 점검 및 주민대피 준비
 
	- 고압전선 접근금지
 
	- 옥내외 전기수리 금지
 
	- 각종 공사장의 안전조치
 
	- 천둥ㆍ번개 등 뇌우시 가로수주변은 피하고 낮은 지역 또는 건물안 등 안전지대로 대피
 
	- 지붕결박 및 낙하위험 시설물의 제거 또는 결속
 
	- 송전철탑의 도괴 또는 누전ㆍ방전 발견시 인근 기관이나 한전에 동시연락
 
	- 출입문ㆍ창문 등은 굳게 닫고 잠글 것
 
	- 노약자, 어린이 외출금지
 
	- 라디오, TV 등에 의한 기상예보 및 호우상황 청취
 
	- 농작물 보호조치
 
	- 용ㆍ배수로 점검
 
	- 소하천 및 간이 취입보 등의 정비
 
	- 산간계곡 야영객 대피
 
	- 농촌시설보호 및 보강 등
 
해안지역
	-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 등 재해위험지구 주민대피 준비
 
	- 해안가 위험축대 등 시설물 점검 및 임시철거
 
	-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 영업자제 및 대피조치
 
	- 가로등 및 고압전선 접근금지
 
	- 옥내외 전기수리 금지
 
	- 각종 공사장의 안전조치
 
	- 해안도로 운행제한
 
	- 천둥ㆍ번개 등 뇌우시 낮은지역 또는 인근 가옥으로 대피
 
	- 입간판, 가옥지붕 결박 및 낙하위험 시설물의 제거 또는 결속
 
	- 송전철탑의 도괴 또는 누전ㆍ방전 발견시 인근 기관이나 한전에 동시연락
 
	- 출입문ㆍ창문 등은 굳게 닫고 잠글 것
 
	- 노약자, 어린이 외출금지
 
	- 라디오, TV 등에 의한 기상예보 및 호우상황 청취
 
	- 해안ㆍ저지대 위험 지역에 대한 경계 강화 및 주민안전지대 대피 준비
 
	- 선박출항의 엄격한 통제와 안전결박 및 조업어선 신속조치
 
	- 철거가능한 어로시설 및 수산증식 시설의 철거
 
	- 해수욕장 폐쇄 및 가 시설물 철거 등
 
호우경보 발령시
도시지역
	-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 등 재해위험지구 주민대피
 
	- 대형공사장, 위험축대 등 시설물 주변 접근금지
 
	- 가로등, 신호등 및 고압전선 접근금지
 
	- 침수도로구간의 보행ㆍ접근금지
 
	-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 영업중지 및 대피조치
 
	- 건물 입간판 및 위험시설물주변 보행ㆍ접근 금지
 
	- 아파트 등 대형ㆍ고층건물의 유리창 테이핑 등 고정조치
 
	- 옥내외 전기설비 고장시 수리금지
 
	- 피해개소에 대한 응급복구
 
	- 수방자재 및 구호물자의 활용
 
	- 천둥ㆍ번개 등 낙뇌시 낮은지역 또는 건물안 등 안전지대로 대피
 
	- 위험 시설물의 사전 제거
 
	- 고속도로 이용차량의 감속운행
 
	- 라디오, TV 등에 의한 기상예보 및 홍수예보 청취
 
	- 아파트 등 고층건물 옥상, 지하실 및 하수도 맨홀 등 접근금지
 
	- 정전대비 비상대처준비 및 비상시 연락방법, 교통이용수단 확인 등
 
농촌지역
	-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 등 재해위험지구 주민대피
 
	- 주택주변의 산사태 등 점검 및 주민대피 준비
 
	- 옥내외 전기설비 고장시 수리금지
 
	- 피해개소에 대한 응급복구
 
	- 수방자재 및 구호물자의 활용
 
	- 천둥ㆍ번개 등 뇌우시 가로수주변은 피하고 낮은 지역 또는 건물안 등 안전지대로 대피
 
	- 위험시설물의 사전제거
 
	- 라디오, TV 등에 의한 기상예보 및 홍수예보 청취
 
	- 농작물 보호조치
 
	- 용ㆍ배수로 보수
 
	- 논둑 보수 및 물꼬조정
 
	- 소규모 교량은 안전확인 후 이용
 
	- 산사태위험지구 경계강화 및 접근금지
 
	- 산간계곡 야영객 대피
 
	- 농림시설결박 및 보호조치 강화
 
	- 이웃간 연락방법 및 비상시 대피방법 확인
 
	- 농기계 등 안전조치 및 가축 등 대피조치
 
	- 비닐하우스, 인삼재배시설 등 결박조치 등
 
해안지역
	-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 등 재해위험지구 주민대피
 
	- 해안가 위험축대 등 시설물 점검 및 임시철거
 
	-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 영업중지 및 대피조치
 
	- 옥내외 전기설비 고장시 수리금지
 
	- 피해개소에 대한 응급복구
 
	- 수방자재 및 구호물자의 활용
 
	- 천둥ㆍ번개 등 낙뢰시 작업장 안전조치
 
	- 위험 시설물의 사전제거
 
	- 해안도로 차량이용 통제
 
	- 라디오, TV 등에 의한 기상예보 및 홍수예보 청취
 
	- 연안저지대 주민 경계강화 및 주민 안전지대 대피
 
	- 소규모 교량 등은 안전확인 후 이용
 
	- 선박 인양 안전조치 및 어망ㆍ어구 등 안전지대 이동조치
 
	- 고층건물, 해안가, 항구, 낙하물 발생예상지역 등 접근금지
 
	- 비상시 연락방법, 교통이용수단 확인 등
 
	 
	
		지역별 행동요령
	- 기상특보에 주의를 기울인다.
 
	- 대피장소, 경로, 거리등 사전파악하고 어떻게 이동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 대피에 필요한 비상물품을 미리 준비한다.
 
	- 가스, 전기 등의 단절에 대비하여 비상식량 및 연료등을 준비한다.
 
	- 재해약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이 있는지 알아둔다.
 
	- 강풍에 대비하여 행동요령을 익힌다.
 
강풍발생 중
	- 출입문, 창문등을 굳게 닫고 잠그며 바람이 셀 경우에는 창문(유리)에 테이프 등을 붙여서 유리가 깨져도 날리지 않도록 한다.
 
	- 노약자 및 어린이 옥외 출입금지
 
	- 공사장내 가설물에 대한 안전조치 및 비상전원 점검
 
	- 고압전송시설 인접지대 접근금지
 
	- 지붕결박 또는 시설물의 제거 또는 결속
 
	- 담벼락 아래로 대피하지 않는다.
 
	- 부상자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119등에 연락하거나 병원으로 후송한다.
 
	- 입간판, 창문틀 등 낙하 위험 시설물은 제거하거나 결속한다.
 
	- 대형공사장, 위험축대 등 시설물 주변에는 접근하지 않는다.
 
	- 농촌지역
		
			- 비닐하우스 등 결박 및 철거조치
 
			- 바람이 강하게 불 때에는 하우스를 밀폐시킨 당음 환풍기를 가동한다.
 
			- 비닐이 찢어진 부분은 빨리 보수하여 바람피해를 예방한다.
 
		
	 
	- 해안지역
		
			- 강풍에 의한 해일우려가 있으므로 해안저지대 경계를 강화한다.
 
			- 조업중인 선박이나 어선은 신속히 대피하고, 출항어선 통제 및 정박중인 선박은 안전지대로 대피한다.
 
			- 강풍이나 파도에 밀릴 우려가 있으므로 해안도로는 운행하지 않는다.
 
			- 침수예상 건물은 지하공간 영업을 자제하고 대피한다.
 
		
	 
강풍이 지나간 후
	- 안전하다는 방송이 있기 전까지는 집안이나 안전한 곳에서 나오지 않는다.
 
	- 가족의 건강 상태를 살피고, 이웃에 피해가 없는지 살펴본다.
 
	- 차량운행은 꼭 필요한 경우에만 한다.
 
	- 끊어지거나 늘어진 전선 등은 직접 만지지 말고 관계 당국에 신고한다.
 
	- 간판이나, 나뭇가지, 파손된 유리, 전선 등 밖은 위험하므로 될수록 복구가 완료될 때 까지 어린이는 밖에 나가지 않도록 한다.
 
	 
	
		대설주의보 발령시
도시지역
	- 자가용차량 이용을 억제하고 지하철, 버스 등 대중교통 이용
 
	- 자가용차량 이용시 설해대비용 안전장구(체인, 모래주머니, 삽 등) 휴대 및 감속ㆍ서행 운행
 
	- 내집앞, 내점포앞, 골목길 등에 염화칼슘, 모래 등 비치
 
	- 등산객, 관광객의 조속 하산 및 귀가
 
	- 노후가옥 안전점검
 
	- 노약자 및 어린이 외출 금지
 
	- 제설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간선도로변 주차 지양
 
	- 각종 공사장의 안전조치
 
	- 라디오, T.V 등을 청취, 교통통제 및 교통상황 수시 파악 등
 
농촌지역
	- 자가용차량 이용을 억제하고 버스 등 대중교통 이용
 
	- 자가용차량 이용시 설해대비용 안전장구(체인, 모래주머니, 삽 등) 휴대 및 감속ㆍ서행 운행
 
	- 내집앞 등에 염화칼슘, 모래 등 비치
 
	- 등산객, 관광객의 조속 하산 및 귀가
 
	- 노후가옥 등 안전점검
 
	- 노약자 및 어린이 외출 금지
 
	- 각종 공사장의 안전조치
 
	- 붕괴가 우려되는 비닐하우스 등 농작물재배시설은 받침대 보강 또는 비닐찢기 및 보호조치
 
	- 비닐 찢기 작업시 등 안전사고 유의
 
	- 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빈 하우스 비닐 걷어내기
 
	- 눈 녹은 물이 하우스 안으로 스며들지 않도록 배수로 정비
 
	- 라디오, T.V 등을 청취, 기상상황 수시 파악 등
 
해안지역
	- 각종 선박 등 대피, 입출항 통제 및 결박 조치
 
	- 수산증ㆍ양식시설은 어류 등이 동사(凍死)하지 않도록 보온조치
 
	- 내집앞 등에 염화칼슘, 모래 등 비치
 
	- 주민, 낚시객, 행락객 등 해안가 접근 통제
 
	- 해안도로 운행 가급적 지양 및 안전장구 부착
 
	- 노후가옥 안전점검
 
	- 노약자 및 어린이 외출 금지
 
	- 각종 공사장의 안전조치
 
	- 라디오, T.V 등을 청취, 기상상황 수시 파악 등
 
대설경보 발령시
도시지역
	- 자가용차량 이용을 억제하고 지하철, 버스 등 대중교통 이용
 
	- 자가용차량 이용시 설해대비용 안전장구(체인, 모래주머니, 삽 등) 휴대 및 감속ㆍ서행 운행
 
	- 내집앞, 내점포앞, 골목길 등에 염화칼슘, 모래 등 살포
 
	- 등산객, 관광객의 조속 하산 및 귀가
 
	- 노후가옥 안전점검 강화
 
	- 노약자 및 어린이 외출 금지
 
	- 제설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간선도로변 주차 지양
 
	- 각종 공사장의 안전조치 강화
 
	- 라디오, T.V 등을 청취, 교통통제 및 교통상황 수시 파악 등
 
농촌지역
	- 자가용차량 이용을 억제하고 버스 등 대중교통 이용
 
	- 자가용차량 이용시 설해대비용 안전장구(체인, 모래주머니, 삽 등) 휴대 및 감속ㆍ서행 운행
 
	- 내집앞 등에 염화칼슘, 모래 등 살포
 
	- 등산객, 관광객의 조속 하산 및 귀가
 
	- 노후가옥 등 안전점검 강화
 
	- 노약자 및 어린이 외출 금지
 
	- 각종 공사장의 안전조치 강화
 
	- 붕괴가 우려되는 비닐하우스 등 농작물재배시설은 받침대 보강 또는 비닐찢기 및 보호조치
 
	- 비닐 찢기 작업시 등 안전사고 유의
 
	- 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빈 하우스 비닐 걷어내기
 
	- 눈 녹은 물이 하우스 안으로 스며들지 않도록 배수로 정비
 
	- 고립지역 비상연락 조치
 
	- 라디오, T.V 등을 청취, 폭설 등 기상상황 수시 파악 등
 
해안지역
	- 각종 선박 등 대피, 입출항 통제 및 결박 조치
 
	- 수산증ㆍ양식시설은 어류 등이 동사(凍死)하지 않도록 보온조치 강화
 
	- 내집앞 등에 염화칼슘, 모래 등 살포
 
	- 주민, 낚시객, 행락객 등 해안가 접근 금지
 
	- 해안도로 운행 가급적 지양 및 안전장구 부착
 
	- 노후가옥 안전점검 강화
 
	- 노약자 및 어린이 외출 금지
 
	- 각종 공사장의 안전조치 강화
 
	- 라디오, T.V 등에 의한 기상예보 청취
 
	- 해안가 가옥주변 적설제거
 
	- 고립지역 비상연락 조치
 
	- 라디오, T.V 등을 청취, 폭설 등 기상상황 수시 파악 등
 
한파 발생 시
일반 가정에서는 가족들과 함께
	- 야외활동은 되도록 자제하고, 부득이 외출을 하는 경우에는 내복, 목도리, 모자, 장갑 등으로 노출 부분의 보온에 유의해야 합니다.
 
	- 외출 후에는 손발을 씻고 과도한 음주나 무리한 일은 피하도록 합니다. 또한, 당뇨환자, 만성폐질환자 등은 미리 독감 예방접종을 하여야 합니다.
 
	- 심한 한기, 기억상실, 방향감각 상실, 불분명한 발음, 심한 피로 등을 느낄 때는 저체온 증세를 의심하고 바로 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 동상에 걸렸을 때는 비비거나 갑자기 불에 쬐어서는 안 되며, 따뜻한 물로 세척 후에 보온을 유지한 채로 즉시 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 외출 시에는 되도록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가족에게 행선지와 시간 계획을 알려둡니다.
 
	- 거동이 불편한 노인, 신체허약자, 환자 등을 남겨두고 장시간 외출할 경우에는 친인척, 이웃 등에 보호를 부탁합니다.
 
	- 특히, 연세 많은 어르신, 장애인이 홀로 거주하는 경우 수시로 전화 등을 통해 안부를 확인합니다.
 
	- 빙판길 낙상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보폭을 줄이고 굽이 낮고 미끄럼이 방지된 신발을 신는 등 주의해야 합니다.
	빙판길 낙상사고 줄이는 요령
	
	
		- ① 보폭을 평소보다 10~20% 줄입니다.
 
		- ② 굽이 낮은 미끄럼 방지 밑창 신발을 신습니다.
 
		- ③ 옷 주머니에 손을 넣거나, 스마트폰을 보면서 걷지 않습니다.
 
		- ④ 가능한 한 손에 물건을 들고 다니지 않습니다.
 
		- ⑤ 응달진 곳을 피하고, 급격한 회전을 하지 않습니다.
 
		- ⑥ 움직임을 둔하게 하는 무겁고 두꺼운 외투는 피합니다.
 
		- ⑦ 넘어질 때는 무릎으로 주저 앉으면서 옆으로 굴러 피해를 최소화합니다.
 
		- ⑧ 진정제, 수면제 등 어지럼 유발 약물 복용자는 외출을 삼갑니다.
 
	
	 
	 
	- 수도계량기, 수도관, 보일러 배관 등은 헌 옷 등 보온재로 채우고 외부는 테이프로 밀폐시켜 찬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합니다.
 
	- 장기간 집을 비우게 될 때는 수도꼭지를 조금 열어 물이 흐르도록 하여 동파를 방지하고, 수도관이 얼었을 때는 미지근한 물이나 드라이로 녹입니다.
 
	- 과도한 전열기 사용을 자제하고, 인화물질을 전열기 부근에 두지 않습니다.
 
	- 전기, 가스, 지역난방 등 시설이 고장난 경우에는 관리기관이나 지자체에 신고하도록 합니다.
 
자동차 운전 중에는 가족이나 동승자가 함께
	- 도로 결빙에 대비하여 스노체인, 염화칼슘, 삽 등 월동용품을 미리 구비하고, 부동액, 축전지, 윤활유 등 자동차 상태를 사전에 점검합니다.
 
	- 운전 전에는 앞 유리의 성에를 완전히 제거하고, 운전 중에는 평소보다 저속 운전하고 차간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사고를 예방합니다.
 
	- 미끄러운 길이나 빙판길, 커브길 등에서는 되도록 가속과 멈춤을 하지 말고, 속도를 미리 줄이도록 합니다.
 
	- 차량 이동 중 고립되었을 때에는 가능한 수단을 통해 구조 연락을 취하고, 동승자와 함께 체온을 유지하고 돌아가며 휴식을 취하도록 합니다. 한 사람은 반드시 깨어있어야 하며 야간에는 실내등을 켜거나 색깔 있는 옷을 눈 위에 펼쳐 놓아 구조요원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합니다.
 
농·어촌에서는 가족이나 지역 주민과 함께
	- 비닐하우스 등 동해 피해 방지를 위해 난방, 온실커튼, 축열 주머니 등 미리 동해 방지 조치를 취합니다.
 
	- 축사 등은 쌓인눈에 의한 붕괴 등에 대비하여 보수·보강하고, 샛바람 방지를 위한 보온덮개와 난방기 등을 준비합니다.
 
	- 양식장은 사육지 면적의 1% 이상을 별도 확보하여 월동장을 설치하고, 방풍망 등으로 보온조치 합니다.
 
	- 장기 한파 피해가 예상될 때에는 양식어류는 조기 출하하여 피해를 예방합니다.
 
	 
	
		지진
지진이 발생하면 이렇게 대피합니다.
튼튼한 탁자 아래에 들어가 몸을 보호합니다.
	- 지진으로 크게 흔들리는 시간은 길어야 1~2분 정도입니다.
 
	- 튼튼한 탁자의 아래로 들어가 탁자 다리를 꼭 잡고 몸을 보호합니다.
 
	- 탁자 아래와 같이 피할 곳이 없을 때에는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합니다.
 
가스와 전깃불을 차단하고 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합니다.
	- 흔들림이 멈춘 후 당황하지 말고 화재에 대비하여 가스와 전깃불을 끕니다.
 
	- 문이나 창문을 열어 언제든 대피할 수 있도록 출구를 확보합니다.
 
	- 흔들림이 멈추면, 출구를 통해 밖으로 나갑니다.
 
집에서 나갈 때는 신발은 꼭 신고 이동합니다.
	- 지진이 발생하면 유리 조각이나 떨어져 있는 물체 때문에 발을 다칠 수 있으니, 발을 보호할 수 있는 신발을 신고 이동합니다.
 
계단을 이용하여 밖으로 대피합니다.
	- 지진이 나면 엘리베이터가 멈출 수 있으므로 타지 말고, 계단을 이용하여 건물 밖으로 대피합니다.
 
	- 밖으로 나갈 때에는 떨어지는 유리, 간판, 기와 등에 주의하며, 소지품으로 몸을 보호하면서 침착하게 대피합니다.
 
건물이나 담장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합니다.
	- 건물 밖으로 나오면 담장, 유리창 등이 파손되어 다칠 수 있으니, 건물과 담장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져 가방이나 손으로 머리를 보호하면서 대피합니다.
 
낙하물이 없는 넓은 공간으로 대피합니다.
	- 떨어지는 물건에 주의하며 신속하게 운동장이나 공원 등 넓은 공간으로 대피합니다.
 
	- 이동할 때에는 차량을 이용하지 않고 걸어서 대피합니다.
 
올바른 정보에 따라 행동합니다.
	- 대피 장소에서는 안내에 따라 질서를 지킵니다.
 
	- 지진 발생 직후에는 근거 없는 소문이나 유언비어가 유포될 수 있으니, 라디오나 공공기관의 안내 방송 등이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행동합니다.
 
장소에 따라 이렇게 행동합니다.
집에 있을 때
	- 가구, 텔레비전 등 낙하물을 피해 탁자 아래로 들어가 탁자 다리를 꼭 잡고 머리와 몸을 보호합니다.
 
	- 주방에서는 가스를 차단하여 화재발생에 주의합니다.
 
	- 욕실에서는 몸을 낮추고 목욕대야, 수건, 목욕가운 등으로 머리와 몸을 보호합니다.
 
학교에 있을 때
	- 책상 아래로 들어가 몸을 웅크리고 책상다리를 꼭 잡고 몸을 보호합니다.
 
	- 흔들림이 멈추면 선생님의 안내에 따라 질서를 지키면서 운동장으로 대피합니다.
 
	- 복도에서는 창문 유리가 깨질 우려가 있으니 창문과 떨어져 이동합니다.
 
고층 건물에 있을 때
	- 높은 층의 건물일수록 흔들림이 크게 오래 지속될 수 있으므로 실내에서 떨어지는 물건에 더욱 주의하여야 합니다.
 
사무실에 있을 때
	- 사무실은 컴퓨터 본체, 모니터 등 무거운 물건들이 많아 다칠 위험이 큽니다.
 
	- 사무실 책상 아래로 들어가 몸을 웅크리고 책상다리를 꼭 잡고 몸을 보호합니다.
 
백화점‧마트에 있을 때
	- 진열장에서 떨어지는 물건으로부터 몸을 보호합니다.
 
	- 계단이나 기둥 근처로 피하고, 흔들림이 멈추면 안내에 따라 밖으로 대피합니다.
 
	-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있다면, 손잡이를 잡고 앉아서 버틴 후 침착히 벗어납니다.
 
극장‧경기장에 있을 때
	- 흔들림이 멈출 때까지 가방 등 소지품으로 몸을 보호하면서 잠시 동안 자리에 머물러 있습니다.
 
	- 사람이 많이 있는 곳에서는 한 곳으로 갑자기 몰리게 되면 사고의 우려가 있으니, 안내에 따라 대피합니다.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을 때
	- 지진이 발생하면 엘리베이터를 타지 말아야 합니다.
 
	-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다면 모든 층의 버튼을 눌러 가장 먼저 열리는 층에서 신속하게 내린 후, 계단을 이용하여 대피합니다.
 
	- 만약 엘리베이터 안에 갇혔을 때는 인터폰이나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구조를 요청합니다.
 
자동차를 타고 있을 때
	- 비상등을 켜고 서서히 속도를 줄여 도로 오른쪽에 차를 세우고 긴급차량을 위해 도로의 중앙부분을 비워둡니다.
 
	- 라디오의 정보를 잘 듣고, 대피해야 할 때에는 열쇠를 꽂거나 놓아둔 채 문을 잠그지 않고 이동합니다.
 
전철을 타고 있을 때
	- 전철 안의 손잡이나 기둥, 선반을 꼭 잡고 넘어지지 않도록 합니다.
 
	- 전철이 멈췄다고 해서 서둘러 출구로 뛰어가는 것은 위험하므로 안내에 따라 행동합니다.
 
산이나 바다에 있을 때
	- 돌‧바위가 굴러 내려오거나 큰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급한 경사지를 피해 평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 지진해일 특보가 발령되면 지진해일 긴급대피장소 등 높은 신속하게 곳으로 대피합니다.
 
몸이 불편하신 분은 이렇게 행동합니다.
시력이 좋지 않거나 시각장애가 있는 경우
	- 우선은 라디오나 텔레비전 등으로 상황 파악을 합니다.
 
	- 대피가 필요한 경우, 바닥에 낙하물이 있는지 장애물을 점검하며 천천히 움직이고 주위 사람에게 도움을 적극적으로 요청합니다.
 
	- 2차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주변 사람에게 화기가 있는 장소의 점검 등을 요청합니다.
 
거동이 불편하거나 지체장애가 있는 경우
	- 혼자서 행동하지 말고 이웃과 함께 대피합니다.
 
	- 휠체어나 보행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퀴를 잠그고 몸을 앞으로 숙이고, 책 ‧방석‧베개 등으로 머리와 목을 보호합니다.
 
	- 움직일 수 없을 때는 조금이라도 안전한 장소에서 도움을 기다립니다.
 
	- 야외 넓은 장소 또는 대피장소에 가지 않고 자택에 머무르는 경우에는 이웃이나 관공서 직원 등에게 그 사실을 알리고 고립되지 않도록 합니다.
 
청력이 좋지 않거나 청각장애가 있는 경우
	- 텔레비전의 자막방송과 휴대전화 등으로 정보를 수집하도록 노력합니다.
 
	- 움직일 수 없게 되었을 경우에는 호루라기 등으로 소리를 내어 장소를 알리고 도움을 받습니다.
 
	- 주변사람들에게 청각장애가 있다는 것을 알리고, 안전한 장소로 유도 및 필요한 배려를 받습니다.
	※ 언어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의사소통 도구(종이, 펜 등)을 이용하여 상황을 파악합니다. 
정신이 불안정하거나 발달장애가 있는 경우
	- 서둘러서 급히 뛰어가거나 바깥으로 뛰어나가지 않습니다.
 
	- 가족이나 도움을 주는 사람들과 미리 정한 것을 지킵니다.
 
	- 혼란스러워 스스로 결정하지 못할 때에는 주위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합니다.
 
어린이와 함께 있을 때에는 이렇게 행동합니다.
유모차 보다는 아기띠를 사용합니다.
	- 영유아의 경우 대피 시 유모차 사용이 어렵기 때문에 평소에 업는 띠를 준비해 둡니다. 대피 시 아기는 띠를 이용해 안고 손을 자유롭게 해 아기와 자신의 신체를 보호합니다.
 
신발을 신겨서 안고 대피합니다.
	- 지진 상황에서는 유리 파편, 건물 잔해 등으로 도로가 위험하기 때문에 걸을 수 있는 아이라도 안고 대피해야 합니다. 업을 때에는 머리를 보호하고, 안거나 업더라도 반드시 신발을 신깁니다.
 
손을 꼭 잡고 행동요령을 확인합니다.
	-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헤어지지 않도록 손을 잡고 대피합니다. 어린이의 경우 행동요령을 알고 있더라도 필요한 행동을 말해주며 함께 대처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지진해일
지진(해일)의 징후
	- 방사하는 닭들이 갑자기 놀라면서 나무위로 올라가거나
 
	- 개들이 크게 짖거나
 
	- 개미ㆍ뱀ㆍ개구리 등이 추운겨울에도 외부로 나오거나
 
	- 가제나 메기ㆍ미꾸라지가 난폭한 행동을 하거나
 
	- 물고기 등이 떼를지어 해수위로 떠밀려오거나
 
	- 지하수 및 온천의 수위ㆍ수질ㆍ색상ㆍ용출량의 변화가 온다
 
지진발생시 행동요령
지진해일이 발생하면 이렇게 대피합니다.
	- 내가 있는 지역이 지진해일의 위험이 있는 지역인지 미리 확인해 둡니다.
 
	- 해안가에 있을 때 지진을 느꼈다면 곧 지진해일이 올 수도 있으니 도로혼잡 등을 고려하여 최대한 빨리 해안이나 하천을 벗어나, 높은 곳으로 대피합니다.
 
	- 해안에서 지진을 느끼거나 지진해일 특보가 발령되면 지진해일 긴급대피장소나 높은 곳으로 대피합니다. 피할 시간이 없다면 주변에 있는 철근콘크리트로 된 튼튼한 건물의 3층 이상인 곳 또는 해발 고도 10m이상인 곳(언덕, 야산 등)으로 대피합니다.
 
	- 지진해일이 오기 전에는 해안의 바닷물이 갑자기 빠져나가거나, 기차와 같은 큰 소리를 내면서 다가오기도 합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높은 곳으로 대피합니다.
 
	- 지진해일은 한 번의 큰 파도로 끝나지 않고 수 시간 동안 여러 번 반복될 수 있습니다. 지진해일 특보가 해제될 때까지 낮은 곳으로 가지 않습니다.
 
지진해일 내습 시 선박 위에 있다면 이렇게 대비합니다.
	- 해안가에서 조업 중인 선박은 지진해일 발생여부를 인지한 후,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선박을 수심이 깊은 지역으로 이동시킵니다.
 
	- 지진해일이 내습하면 항만 등에서 그 파고는 거대해지고 유속이 급격하게 증가하므로 선박의 안전에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 선박에 대한 조치가 끝난 후에 자신이 육지에 있다면 동료들과 함께 신속히 고지대로 대피합니다.
 
지진해일의 특성 및 주의사항
	- 지진해일은 파도의 주기가 아주 긴 파장입니다.
 
	- 지진해일이 해안가에 도달하게 되면 5분에서 10분 간격으로 높은 파도가 계속적으로 밀려옵니다.
 
	- 지진해일은 수 시간동안 해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진해일 특보가 해제될 때까지 안전한 대피장소에 머무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진해일 긴급대피장소 지정 현황
	지진해일 긴급대피장소 지정 현황연번, 시설구분, 시설명, 시설위치, 비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연번 | 
			시설구분 | 
			시설명 | 
			시설위치 | 
			비고 | 
		
	
	
		
			| 1 | 
			야산 | 
			주전 카페멍데이 뒤 야산 | 
			동구 주전동 14 | 
			주전지구 | 
		
		
			| 2 | 
			학교 | 
			주전초등학교 운동장 | 
			동구 동해안로 575 | 
		
		
			| 3 | 
			공터 | 
			고늘마을 현대주차장 옆 공터 | 
			동구 일산동 305-4 | 
			일산지구 | 
		
		
			| 4 | 
			주차장 | 
			일산지중앙주차장 | 
			동구 일산동 963 | 
		
		
			| 5 | 
			주차장 | 
			대왕암 앞 공영주차장 | 
			동구 등대로 95 | 
		
		
			| 6 | 
			야산 | 
			성끝마을 수협위판장 뒤 야산 | 
			동구 방어동 18-32 | 
			방어지구 | 
		
		
			| 7 | 
			학교 | 
			방어진초등학교 운동장 | 
			동구 꽃바위로 341 | 
		
		
			| 8 | 
			학교 | 
			화암초등학교 운동장 | 
			동구 화문로 55 | 
		
	
 
울산동구 지진옥외대피장소 현황
	울산동구 지진옥외대피장소 현황구분, 계, 학교운동장(소계, 초교, 중교, 고교, 대학), 공공건물 광장, 일반주차장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구분 | 
			계 | 
			학교운동장 | 
			공공건물 광장 | 
			일반주차장 | 
		
		
			| 소계 | 
			초교 | 
			중교 | 
			고교 | 
			대학 | 
		
	
	
		
			| 개소 | 
			38 | 
			35 | 
			16 | 
			9 | 
			9 | 
			1 | 
			1 | 
			2 | 
		
	
 
지진 옥외대피장소
	지진 옥외대피장소지자체(울산동구), 지진 옥외대피장소(시설명, 소재지(도로명 주소)), 대피면적(㎡), 수용가능인원(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지자체 | 
			지진 옥외대피장소 | 
		
		
			| 시설명 | 
			소재지(도로명 주소) | 
			대피면적(㎡) | 
			수용가능인원(명) | 
		
		
			| 울산동구 | 
			272,160 | 
			82,452 | 
		
	
	
		
			| 1 | 
			문현초운동장 | 
			울산 동구 꽃바위6길 25 | 
			5,480 | 
			1,660 | 
		
		
			| 2 | 
			방어진초운동장 | 
			울산 동구 꽃바위로 341 | 
			3,760 | 
			1,139 | 
		
		
			| 3 | 
			화암초운동장 | 
			울산 동구 화문로 55 | 
			5,870 | 
			1778 | 
		
		
			| 4 | 
			화진초운동장 | 
			울산 동구 방어진순환도로 543 | 
			6,570 | 
			1,990 | 
		
		
			| 5 | 
			화암중운동장 | 
			울산 동구 문현5길 35 | 
			5,610 | 
			1,700 | 
		
		
			| 6 | 
			문현고운동장 | 
			울산 동구 화잠7길 25 | 
			7,550 | 
			2,287 | 
		
		
			| 7 | 
			화암고운동장 | 
			울산 동구 화암7길 55 | 
			5,810 | 
			1,760 | 
		
		
			| 8 | 
			명덕초운동장 | 
			울산 동구 진성14길 15 | 
			9,080 | 
			2,751 | 
		
		
			| 9 | 
			미포초운동장 | 
			울산 동구 진성15길 35 | 
			6,880 | 
			2,084 | 
		
		
			| 10 | 
			일산초운동장 | 
			울산 동구 진성12길 11 | 
			5,880 | 
			1,781 | 
		
		
			| 11 | 
			일산중운동장 | 
			울산 동구 진성15길 15 | 
			5,730 | 
			1,736 | 
		
		
			| 12 | 
			일산해수욕장 공용주차장 | 
			울산 동구 일산동 948-4 | 
			4,900 | 
			5,939 | 
		
		
			| 13 | 
			일산해수욕장 중앙주차장 | 
			울산 동구 일산동 963 | 
			6,100 | 
			1,848 | 
		
		
			| 14 | 
			상진초운동장 | 
			울산 동구 봉수로 50 | 
			5,580 | 
			1,690 | 
		
		
			| 15 | 
			양지초운동장 | 
			울산 동구 양지6길 33 | 
			6,960 | 
			2,109 | 
		
		
			| 16 | 
			울산과학대(동부)운동장 | 
			울산 동구 봉수로 101 | 
			13,330 | 
			4,039 | 
		
		
			| 17 | 
			화진중운동장 | 
			울산 동구 양지1길 45 | 
			7,260 | 
			2,200 | 
		
		
			| 18 | 
			화정초운동장 | 
			울산 동구 대송9길 55 | 
			5,780 | 
			1,751 | 
		
		
			| 19 | 
			대송중운동장 | 
			울산 동구 학문로 90 | 
			6,050 | 
			1,833 | 
		
		
			| 20 | 
			명덕여중운동장 | 
			울산 동구 학문로 40 | 
			6,540 | 
			1,981 | 
		
		
			| 21 | 
			방어진중운동장 | 
			울산 동구 학문로 100 | 
			6,500 | 
			1,969 | 
		
		
			| 22 | 
			대송고운동장 | 
			울산 동구 봉수로 210 | 
			7,260 | 
			2,200 | 
		
		
			| 23 | 
			방어진고운동장 | 
			울산 동구 학문로 50 | 
			7,250 | 
			2,196 | 
		
		
			| 24 | 
			울산생활과학고운동장 | 
			울산 동구 학문로 70 | 
			5,740 | 
			1,739 | 
		
		
			| 25 | 
			동구청 광장 | 
			울산 동구 봉수로 155 | 
			10,180 | 
			3,084 | 
		
		
			| 26 | 
			전하초운동장 | 
			울산 동구 바드래길 55 | 
			10,890 | 
			3,300 | 
		
		
			| 27 | 
			남목초운동장 | 
			울산 동구 옥류로 33 | 
			5,180 | 
			1,569 | 
		
		
			| 28 | 
			남목중운동장 | 
			울산 동구 방어진순환도로 1155 | 
			6,730 | 
			2,039 | 
		
		
			| 29 | 
			남목고운동장 | 
			울산 동구 방어진순환도로 1200 | 
			3,910 | 
			1,184 | 
		
		
			| 30 | 
			녹수초운동장 | 
			울산 동구 봉수로 545 | 
			5,880 | 
			1,781 | 
		
		
			| 31 | 
			서부초운동장 | 
			울산 동구 봉수로 457 | 
			5,400 | 
			1,636 | 
		
		
			| 32 | 
			현대중운동장 | 
			울산 동구 봉수로 453 | 
			7,930 | 
			2,403 | 
		
		
			| 33 | 
			현대고운동장 | 
			울산 동구 봉수로 455 | 
			16,040 | 
			4,860 | 
		
		
			| 34 | 
			현대청운중운동장 | 
			울산 동구 방어진순환도로 1073 | 
			10,960 | 
			3,321 | 
		
		
			| 35 | 
			현대청운고운동장 | 
			울산 동구 방어진순환도로 1077 | 
			5,430 | 
			1,645 | 
		
		
			| 36 | 
			동부초운동장 | 
			울산 동구 남목13길 23 | 
			4,610 | 
			1,396 | 
		
		
			| 37 | 
			주전초운동장 | 
			울산 동구 동해안로 575 | 
			3,250 | 
			984 | 
		
		
			| 38 | 
			현대공고운동장 | 
			울산 동구 미포로 122 | 
			18,300 | 
			5,545 | 
		
	
 
	 
	
		황사로부터 내 건강ㆍ내 가족등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수시로 『황사발생 기상정보』를 확인하여 『시민행동요령』에 따라 신속하게 대처하여 피해를 최소화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황사발생전
가정 및 식품취급 장소
	- 외출시 필요한 보호안경, 마스크, 긴소매의복 등을 준비
 
	- 황사가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을 닫고 실내 공기정화기 및 가습기 준비
 
	- 과실, 채소류 등 미포장 식품의 야적 자제
 
학교 등 교육기관
	- 기상예보를 청취, 지역실정에 맞게 휴업 또는 단축수업 검토
 
	- 학생 비상연락망 점검 및 연락체계 유지, 맞벌이 부부자녀에 대한 자율학습대책 등 수립
 
축산·시설원예 등 농가
	- 운동장 및 방목장의 가축 대피 준비
 
	- 노지에 방치, 야적된 사료용 볏짚 등에 비닐 씌우기
 
	- 비닐하우스, 온실 등 시설물의 출입문 및 환기창 점검
 
황사발생중
가정 및 식품취급 장소
	- 창문을 닫고 가급적 외출을 삼가하되, 외출시 보호안경, 마스크를 착용하고, 외출 후에는 손과 발을 씻고 특히 미지근한 물로 눈을 헹구어 주고, 양치질 등으로 입안 청결유지
 
	- 노출된 채소, 과일 등 농수산물은 충분히 세척 후 섭취
 
	- 식품제조·가공, 조리시 철저한 손씻기 및 기계·기구류 세척 등 위생관리 2차 오염 방지
 
학교 등 교육기관
	-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실외활동 금지 및 수업단축 또는 휴업
 
축산·시설원예 등 농가
	- 방목장의 가축이 축사 안으로 신속히 대피시켜 황사 노출 방지
 
	- 비닐하우스, 온실 및 축사의 출입문과 창문을 닫고 외부 공기와 접촉을 가능한 적게 할 것
 
	- 야적된 사료용 건초, 볏짚 등을 비닐, 천막 등으로 덮기
 
황사발생후
	- 실내공기의 환기 및 황사에 노출된 물품 등은 세척 후 사용
 
	- 학교 실내ㆍ외 방역 및 청소, 감기ㆍ안질 등 환자는 쉬게 하거나 일찍 귀가 조치
 
	- 축사, 방목장 사료조 및 가축과 접촉되는 기구류 등은 세척 및 소독
 
	- 가축질병의 발생유무 관찰 및 병든 가축 발견시 신고
 
	- 비닐하우스, 온실 등에 쌓인 황사 세척
 
	 
	
		나무 밑은 위험 안전지대로.... 낙뢰에 대비합시다
낙뢰가 예상되나요?
	- 건물 안, 자동차 안, 혹시 움푹 파인 곳이나 동굴 등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시기 바랍니다.
 
	- 낚시대나 골프채 등을 이용하는 야외운동은 매우 위험하므로 운동을 즉시 중단하시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시기 바랍니다.
 
	- 라디오, TV,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를 잘 알아 둡시다.
 
낙뢰가 칠 때
	- 평지나 산 위에서 낙뢰가 치고 있을 때는 몸을 가능한 낮게 하고 우묵한 곳이나 동굴속으로 피합니다.
 
	- 벌판에 있는 나무나 키가 큰 나무에는 벼락이 떨어질 가능성이 크므로 피해야 합니다.
 
	- 낚시대나 골프채 같은 키가 큰 물건은 땅에 내려놓고 자세를 낮춥니다.
 
	- 자동차에 타고 있을 때는 차를 세우고 차 안에 그대로 있는 것이 안전합니다. 
 
	- 차에 낙뢰가 치면 전류는 도체인 차 표면을 따라 흘러 타이어를 통해 지면에 접지됩니다.
 
	- 집에 낙뢰가 치면 TV 안테나나 전선을 따라 전류가 흐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가옥 내에서는 전화기나 전기제품 등의 플러그를 빼어 두고, 전등이나 전기제품으로부터 1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응급처치법
	- 낙뢰로부터 안전한 장소로 옮깁니다.
 
	- 구조해 내면 이름을 부르는 등 의식의 유무를 살핍니다.
 
	- 의식이 없으면 즉시 호흡과 맥박의 여부를 확인하고 호흡이 멎어 있을 때는 인공호흡을, 맥박도 멎어 있으면 인공호흡과 병행해서 심장 마사지를 합니다.
 
	- 의식이 있는 경우에는 본인이 가장 편한 자세로 안정케 합니다. 감전 후 대부분의 환자가 전신 피로감을 호소하기 마련입니다.
 
	- 환자가 흥분하거나, 떨고있는 경우에는 말을 걸든지 침착하게 합니다.
 
	- 사고가 등산 중이거나 해서 의사의 치료를 받을수 없는 장소에서 일어나더라도 결코 단념하지 말고 필요하다면 인공호흡,심장 마사지 등의 처치를 계속해주십시오.
 
	- 또 설사 환자의 의식이 분명하고 건전해 보여도, 감전은 몸의 안쪽 깊숙이까지 화상을 입고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빨리 응급병원에서 진찰을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폭염대비「주민준비요령」무더울 땐 이렇게 준비하세요!
	- 야외활동을 자제하세요(부득이, 외출을 할 경우 창이 넓은 모자착용 및 가벼운 옷차림을 하고 꼭 물병 휴대)
 
	- 물을 많이 마시되 너무 달거나 카페인이 들어간 음료, 주류 등은 마시지 마세요
 
	- 냉방이 되지 않는 실내의 경우 햇볕이 실내에 들어오지 않도록 하고 맞바람이 불도록 환기를 하고 선풍기를 켜세요
 
	- 창문이 닫힌 자동차 안에 노약자나 어린이를 홀로 남겨두지 마세요
 
	- 거동이 불편한 고령, 독거노인, 신체허약자, 환자 등은 외출을 삼가고 이들을 남겨두고 장시간 외출시는 친인척ㆍ이웃 등에 보호를 의뢰하세요
 
	- 탈수 등의 이유로 소금 등을 섭취할 때에는 의사의 조언을 들으세요
 
	- 현기증, 메스꺼움, 두통, 근육경련 등 열사병 초기증세가 보일경우에는 시원한 장소로 이동하여 몇분간 휴식을 취한 후 시원한 음료를 천천히 마시세요
 
	- 기온이 최고에 달하는 12시~오후 4시 사이에는 최소한 2시간은 냉방이 가능한 건물에 머무르세요.
 
	- 준비없이 물에 들어가거나 갑자기 찬물로 샤워를 하지 마세요(심장마비위험)
 
	- 선풍기를 창문쪽으로 돌려 환기를 유도하세요(선풍기 장시간 사용은 자제)
 
	- 넉넉하고 가벼운 옷을 입어 자외선을 방지하고 노출부위는 썬크림 등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 피부를 보호하세요
 
	- 어린아이를 데리고 야외에 나갈 경우에는 두꺼운 담요나 옷으로 감싸지 마세요
 
일상생활에서는
주방이나 세탁할 때에는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가족 모두가 함께 동참합니다.
	- 식기류 세척 시에는 물을 틀어 놓지 말고 받아서 사용합니다.
 
	- 식기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는 휴지로 닦고 세척을 합니다.
 
	- 세탁할 때는 한꺼번에 모아서 합니다.
 
	- 채소나 과일을 씻을 때에는 물을 틀어 놓지 말고 받아서 사용합니다.
 
	- 수도꼭지나 관의 누수를 철저히 점검합니다.
 
화장실이나 욕실에서는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가족 모두가 함께 동참합니다.
	- 세수 할 때는 물을 틀어 놓지 말고 받아서 사용합니다.
 
	- 목욕 할 때는 물을 틀지 말고 샤워기로 적당량만 사용합니다.
 
	- 머리를 감는 동안 물은 잠그고, 샴푸, 린스 사용량을 줄입니다.
 
	- 양치질을 할 때는 반드시 컵을 사용합니다.
 
	- 면도 할 때는 틀어놓지 말고, 세면기에 약간만 받아놓고 면도기를 씻습니다.
 
	- 절약형 샤워 꼭지나 수량 조절기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사용합니다.
 
실외에서는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가족 모두가 함께 동참합니다.
	- 잔디 물주기는 정확한 시기를 맞춰서 필요할 때에만 줍니다.
 
	- 정원이나 꽃밭에는 한 번 사용한 허드렛물을 재사용합니다.
 
	- 나무나 큰 식물에는 윗덮개를 하여 수분의 증발과 잡초의 번식을 막습니다.
 
	- 건물 앞 인도나 도로변 청소는 빗자루를 사용하고 물청소는 가급적 자제합니다.
 
	- 세차할 때는 자동잠금장치가 있는 호스를 이용하고, 적당량의 물을 받아서 비누칠한 후 세차합니다.
 
농촌에서는
논농사 시에는 물을 사전에 확보하기 위해 지역 주민들과 함께 물 절약에 동참합니다.
	- 물을 끌어올 수 있는 시설(수로)이나 물을 퍼 올릴 수 있는 장비(양수기), 파종기, 전기시설, 송수호스는 수시 점검합니다.
 
	- 논에 물 가두기 등을 실시합니다.
 
	- 물 손실 방지를 위하여 수로, 논두렁 등을 정비합니다.
 
	- 못자리 급수 조절 등을 통한 모(벼) 노화 방지를 합니다.
 
	- 집단못자리, 논물 걸러대기(간단관개), 건답직파 등을 통해 물 절약을 합니다.
 
	- 모내는 시기가 늦어 모를 못낸 논은 다른 작물을 파종합니다.
 
	- 모 활착 기간 중에는 최소한 습기를 유지합니다.
 
	- 물이 가장 필요한 활착기(5~6월), 유수형성기(6~7월), 수잉기(7~8월)에 중점급수를 실시합니다.
 
	- 관정 등 이용 가능한 용수원을 사전에 개발합니다.
 
	- 대파용 종자 및 대체작물재배 계획을 미리 세워둡니다.
 
밭작물 재배 시에는 물 부족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지역 주민들과 함께 동참합니다.
	- 밭작물 재배지역 비닐 피복하기 및 절수 재배를 합니다.
 
	- 이동식 스프링클러 등을 이용하여 농작물이 시들지 않도록 관리합니다.
 
	- 밭작물 토양 수분이 알맞을 때 파종, 해충방제 등 육묘 관리를 합니다.
 
	- 토양 피복이 가능한 곳에서는 볏짚ㆍ비닐을 깔아 토양 수분 증발을 최소화합니다.
 
	- 밭작물 파종·정식 지연 지역은 늦게 심을 수 있는 대체작물을 재배합니다.